​[중소벤처 수출‧해외진출대책]中企 수출규모에 따라 지원정책도 달라진다

  • 수출유망 中企 5000개 육성

앞으로 중소기업은 수출 규모에 따라 지원받을 수 있는 정책이 달라진다. 수출을 이제 막 시작한 초보기업은 수출전략이나 디자인개발에 도움을 주고, 수출 강소기업은 해외시장을 넓히기 위한 현지화를 지원하는 식이다.

중소벤처기업부가 관계부처 합동으로 마련해 8일 발표한 ‘중소벤처기업 수출‧해외진출 지원대책’에 따르면, 정부는 중소기업의 해외진출 지원방식을 전면 개편하기로 했다.

[아주경제DB]


지금까지 연구개발(R&D)‧자금‧보증 등의 타지원사업과 해외진출지원이 연계가 부족하고, 수출성장규모별 특성을 반영한 세분화된 정책이 미흡했다는 지적이 제기돼 왔다.

이에 △각 참여기관이 수출규모별 우수기업을 추천하고 △수출기관 공동협의를 통해 선정한 후 △핵심기업에 집중 지원하는 방향으로 지원정책을 이끌어가기로 했다.

이러한 지원방식 개편으로 2022년까지 수출유망 핵심기업을 5000개 창출한다는 목표다.

특히, 수출지원사업을 성장사다리형 지원체계로 개편해 맞춤형 전략지원을 해준다는 방침이다.

지원대상이 내수 및 수출 100만 달러 미만 기업으로 쏠리는 편중현상을 방지하고, 성장단계별 맞춤형지원을 위해 운영체계를 개편한 것이다.

지난해 기준 중기부의 지원사업 참여기업 중 82.2%는 내수와 수출 100만 달러 미만 초보‧유망기업에 쏠려 있다.

새로운 수출지원사업은 예산을 수출규모에 따라 배분하고, 수출역량이 상이한 점을 고려해 차등지원하는 내용이 핵심이다.

중기부 관계자는 “수혜기업이 지속적으로 성장할 수 있도록 단계 상승에 성공한 기업은 다음 해 연속 지원 받을 수 있는 인센티브를 부여할 것”이라며 “2년 연속 성장단계 상승 기업은 집중지원을 받을 수 있도록 수출 유망핵심기업군으로 지정하겠다”고 밝혔다.

[표 = 중기부]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컴패션_PC
댓글0
0 / 300

댓글을 삭제 하시겠습니까?

닫기

로그인 후 댓글작성이 가능합니다.
로그인 하시겠습니까?

닫기

이미 참여하셨습니다.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