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소벤처 수출‧해외진출대책]‘유니콘’ 육성 본격 추진…글로벌 자본과 연계 지원

정부가 국내 스타트업을 유니콘기업으로 성장시키기 위한 스케일업을 본격 추진한다. 이를 위해 해외진출 거점을 조성하고, 글로벌 자본과의 연계를 지원해 준다. 현재 2조1000억원 규모의 ‘해외 벤처캐피탈 글로벌 펀드’를 3000억원 규모로 추가 조성한다.

중소벤처기업부가 관계부처 합동으로 마련해 8일 발표한 ‘중소벤처기업 수출‧해외진출 지원대책’에 따르면, 정부는 스타트업의 해외진출과 교류활성화를 위한 기반을 구축해 글로벌 스케일업을 가속화한다는 방침이다.

[아주경제DB]


스타트업이 유니콘기업으로 성장하기 위해서는 국내시장을 넘어 해외에 진출해 현지기업‧투자자 등과 소통‧협업할 기회가 필요하다는 판단에서다.

우선 스타트업 해외 혁신거점 및 통합 시스템을 구축한다.

인도(구르가온)‧미국(시애틀)에 스타트업 진출거점을 신설해 제조업의 해외사무 공간 제공 중심의 수출BI(22개소)를 개방형 공간으로 전환, 무역관 중 일부(20개소)는 창업 지원을 위한 거점으로 지정하기로 했다.

지원기관‧지자체‧대학 등이 보유한 해외 협력채널과 재외국민 네트워크 등 현재 흩어져 있는 정보를 수집‧통합해 스타트업에게 제공하고, 스타트업과 현지 혁신주체 간 교류 활성화를 유도한다.

이를 위해 해외 협력채널을 상호 연결시키는 공유플랫폼을 구축하고, 수출친구맺기 등 해외 네트워크 활용사업을 발굴‧확대한다. 공유플랫폼은 수출BI‧IT지원센터 등 해외거점을 공동으로 예약‧이용하는 프로그램이다. 수출친구맺기는 OKTA 회원이나 재외한인회과 수출유망중소기업간 교류‧협업을 지원하는 것이다.

스타트업과 글로벌 자본과의 연계도 지원한다.

대규모 글로벌 성장자본 유치를 위해 글로벌 대기업과 해외 VC‧AC와의 교류‧매칭해 주기로 했다. △헬스케어는 Bayer(독일) △ICT‧모바일은 KDDI(일본)와 알리바바(중국) △핀테크는 스탠다드차타드(싱가포르) 등 해외 6개국 액셀러레이터를 활용해 스타트업 프로그램을 제공한다.

스타트업이 해외진출에 필요한 사항을 자율적으로 선택해 제공받는 방식의 바우처 제도도 신설했다. 관련 예산은 추경 포함 80억원 규모다.

이와 함께 ‘해외 벤처캐피탈 글로벌 펀드’를 3000억원(모태펀드 1000억원) 규모로 추가 조성(現 2조1000억원)해 우수 해외 VC의 국내 스타트업 투자를 유도하기로 했다.
아울러 네트워킹 활성화와 공동 해외진출을 돕기 위해 단기적으로 ‘한-아세안 스타트업 국제기구’를 설립하고, 장기적으로 글로벌 규모로 확대해 나갈 계획이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고궁걷기대회_기사뷰_PC
댓글0
0 / 300

댓글을 삭제 하시겠습니까?

닫기

로그인 후 댓글작성이 가능합니다.
로그인 하시겠습니까?

닫기

이미 참여하셨습니다.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