OECD 인공지능 이사회 권고안에는 일반원칙으로 △포용성과 지속가능성 △인간가치와 공정성 △투명성과 설명가능성 △강인성과 안전성 △책임성 등이 포함됐다. 정책권고사항으로는 △연구 개발에 대한 투자 △디지털 생태계 조성 △혁신을 위한 유연한 정책환경 △인적역량 배양 및 일자리 변혁 대응 △국제협력을 제시에 관한 내용이 담겼다.
OECD 인공지능 이사회 권고안은 국제기구에서 최초로 수립된 인공지능 권고안으로서, 2019 각료이사회의 대표적 성과물로 평가되며 공식 서명 행사를 통해 채택됐다.
이번 회의에는 36개 회원국 고위급 인사와 유엔, 유네스코, 국제통화기금(IMF) 등 국제기구 대표가 참석해 지속가능한 발전을 위한 디지털 변혁 활용방안을 논의했다.

OECD 각료이사회에서 민원기 과기정통부 제2차관이 발언하고 있다.[사진=과기정통부 ]
그는 미국, 일본, 유럽연합(EU) 등 주요국들도 이번 권고안 채택을 적극 지지하며, 권고안 마련에 주도적인 역할을 한 한국의 기여를 높게 평가했다.
경제협력개발기구(OECD) 인공지능(AI) 전문가그룹 의장으로 이번 권고안 통과에 핵심적인 역할을 수행한 민원기 과기정통부 제2차관은 “이번 권고안이 향후 국제사회에서 바람직한 인공지능의 활용 및 발전 지침으로 자리 잡을 수 있기를 바란다”고 전했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