복 비서관은 시장으로 재직하던 2016년과 2017년 시 예산 가운데 피복비를 전용해 비서실에 근무하던 직원들에게 1년에 2차례에 걸쳐 양복과 양장을 선물했다는 것.
익명의 제보에 의하면 복비서관은 시장 재직 당시 비서실 남성 직원들에게는 60만원 상당의 양복, 여성 직원들에게는 30만원 상당의 양장을 사주는 등 2900여만원 상당의 예산을 전용해 사용했다는 것이다.
이보다 앞선 시장재직시기에도 피복비 예산이 아닌 타 용도의 예산을 전용해 액수 미상의 의복을 비서실 직원들에게 선물했다는 의혹도 나오고 있다.
이 관계자는 “피복비 예산인 것은 맞지만 비서실 직원들의 정장은 피복비 용도에 맞지 않으며 민방위복이나 청내 비정규직 근무복 등에 사용할 피복비를 전용해 사용한 것”이라고 답했다.
그는 또 “2016년 이전 비서실 피복비 지급과 관련해서는 정장을 지급한 것은 맞지만 피복비에서 전용한 것은 아닌 걸로 안다” 며 “비서실 직원들에게 정장비 지급은 다른 예산에서 사용했을 것”이라고 말했다.
이에 대해 장기승 아산시의원은 “평소 페미니즘을 강조하며 남녀 차별을 없애겠다고 했던 복 비서관이 남자직원들에게는 여자직원들보다 2배의 의상비를 지급해 차별을 유도했다”며
“더욱이 공무원들에게 민방위복이나 작업복을 지급하는데 사용하는 용도인 피복비를 비서실 직원들에게 지급한 것은 불법이자 차별”이라고 성토했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