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 아파트값 4주 연속 상승...비강남권까지 번지는 오름세

  • 강남 재건축 상승세 견인

서울 아파트 매매가격이 4주 연속 상승세를 이어갔다. 강남권 재건축 아파트가 집값 상승세를 이끌었고 그 영향력이 비강남권까지 확대되는 모습이다. 집값이 바닥권을 벗어났다는 인식에 ‘내 집 마련’ 실수요가 거래에 나서자, 매도자들은 매물을 거둬들이거나 호가를 높이는 분위기다.

5일 부동산 정보업체 부동산114에 따르면 이번주 서울 아파트가격 변동률은 0.07%를 기록했다. 재건축 아파트(0.18%)와 일반 아파트(0.05%) 모두 지난주에 비해 상승폭이 확대됐다. 신도시와 경기·인천 매매가격은 보합(0.00%)을 나타냈다.

전세가격은 서울과 신도시가 각각 0.02%, 0.01% 오른 반면 경기·인천은 0.01% 하락했다.

서울은 재건축 단지를 중심으로 대기수요가 가세하면서 △송파(0.15%) △강남(0.14%) △양천(0.13%) △강동(0.12%) △노원(0.10%) △서초(0.07%) 순으로 상승했다. 송파는 거래가 이뤄지면서 신천동 잠실파크리오와 더샵스타파크가 1000만~2500만원 올랐다.

강남은 개포주공과 은마의 상승세에 편승해 개포동 래미안블래스티지와 대치동 한보미도맨션2차가 각각 2500만원 상승했다. 양천은 재건축 목동신시가지 2·3·7·8·9단지가 1000만~2000만원 올랐고, 강동은 둔촌동 둔촌주공1·3·4단지와 명일동 삼익그린2차가 각각 500만~1000만원 상승했다. 노원은 창동·상계 개발호재로 상계동 마들대림과 노원현대가 1000만원 올랐다. 서초에서는 후분양 논의 중인 반포동 신반포3차와 신반포15차가 2500만~5000만원 올랐다. 반면 25개구 가운데 유일하게 하락세를 나타낸 ▼도봉(-0.02)에서는 방학동 신동아1단지가 500만원 내렸다.

신도시는 실거주 수요가 거래에 나서면서 △분당(0.04%) △김포한강(0.01%) △위례(0.01%) 순으로 올랐다.

분당은 급매물이 소진된 정자동 정든동아, 서현동 시범삼성·한신이 500만~2000만원 올랐다. 김포한강은 이달 말 김포도시철도 개통을 앞두고 구래동 한강신도시반도유보라4차가 500만원 올랐다. 위례는 학암동 위례롯데캐슬이 500만원 올랐다. 반면 ▼평촌(-0.04%) ▼동탄(-0.03%) ▼일산(-0.01%)은 하락했다. 평촌은 거래절벽이 이어지며 호계동 평촌더샵아이파크와 무궁화한양·효성이 500만~2250만원 빠졌다. 동탄은 청계동 시범예미지가 500만~1250만원 떨어졌다. 일산은 3기신도시 발표 영향으로 약세가 지속되면서 문촌15단지부영이 1500만원 내렸다.

경기·인천은 △광명(0.11%) △부천(0.07%) △구리(0.05%) △수원(0.03%) △용인(0.03%) 순으로 오른 반면 ▼이천(-0.12%) ▼평택(-0.07%) ▼시흥(-0.07%)은 하락했다. 광명은 신안산선 착공이 임박해지면서 하안동 주공3·8(저층)·12단지가 250만~750만원 올랐다. 부천은 오정동 오정생활휴먼시아1·2·3단지가 500만원 상승했고, 구리는 지하철 8호선 연장 호재 영향으로 인창동 주공1단지가 500만원 올랐다. 수원은 매탄동 매탄주공4·5단지가 500만~1000만원 상승했다. 반면 이천은 거래절벽이 이어지면서 송정동 현진에버빌1차가 500만~1250만원 떨어졌다.

서울 전세가격은 △성북(0.14%) △강남(0.10%) △종로(0.08%) △강서(0.07%) △광진(0.02%) 순으로 올랐다. 성북은 길음동 길음뉴타운2·4단지가 1000만원 올랐다. 강남과 종로에서는 입주 5년 이하의 대단지 중심으로 전셋값이 강세다. 강남 개포동 래미안블레스티지와 대치동 래미안대치팰리스가 2500만~5500만원 상승했고 종로 홍파동 경희궁자이2단지는 500만원 올랐다. 강서에서는 급매물이 빠지면서 화곡동 우장산IPARKe편한세상과 내발산동 우장산힐스테이트가 500만~1000만원 상향 조정됐다. 반면 ▼관악(-0.10%) ▼도봉(-0.01%) ▼구로(-0.01%)는 하락했다. 관악은 e편한세상서울대입구(1531가구) 입주 여파로 봉천동 성현동아가 1000만원 내렸다.

신도시는 △파주운정(0.11%) △분당(0.06%) △동탄(0.05%) 순으로 올랐고, ▼일산(-0.11%) ▼산본(-0.03%)은 떨어졌다. 파주운정은 와동동 가람마을8단지동문굿모닝힐이 500만원 올랐다. 분당은 실거주 목적 수요가 움직이면서 전세물건이 부족해졌다. 야탑동 장미현대·장미코오롱이 1000만원 올랐다. 동탄은 입주물량이 다소 소화되면서 청계동 동탄2신도시센트럴푸르지오와 시범우남퍼스트빌 전세가격이 500만~1000만원 상향 조정됐다. 일산은 거래가 부진한 가운데 입주물량이 공급되면서 강촌7단지선경코오롱이 2000만~3500만원 내렸다.

경기·인천은 ▼용인(-0.18%) ▼시흥(-0.08%) ▼평택(-0.08%) ▼고양(-0.04%) ▼군포(-0.03%) ▼남양주(-0.01%) 등이 하락했다. 용인은 신규공급이 이어진 동천동 한빛마을래미안이스트팰리스1·2단지가 1000만원 내렸다. 시흥에서는 대야동 우성2차와 정왕동 호반베르디움더프라임이 500만~1000만원 떨어졌다. 입주가 몰린 평택과 고양은 전세가격이 약세다. 평택은 서정동 평택더샵과 독곡동 송탄라이프가, 고양은 성사동 원당e편한세상이 각각 1000만원씩 내렸다. 반면 △광명(0.11%) △양주(0.10%) △안양(0.07%) 등은 상승했다.

여경희 부동산114 리서치팀 수석연구원은 "서울 집값 바닥론에 힘이 실리고 있지만 추격매수는 신중해야 한다"며 "일부 주요 단지들의 거래사례가 부각되면서 시장 분위기에 편승한 호가 상승이 감지되고 있어서다. 정부가 주택시장 과열 시 민간택지 분양가상한제, 금융 규제 등 추가대책을 내놓겠다고 경고했기 때문에 대기수요는 시장의 향방을 좀더 지켜볼 필요가 있다"고 조언했다.
 

[사진 = 윤지은 기자]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제3회 보훈신춘문예 기사뷰
댓글0
0 / 300

댓글을 삭제 하시겠습니까?

닫기

로그인 후 댓글작성이 가능합니다.
로그인 하시겠습니까?

닫기

이미 참여하셨습니다.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