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 위원장은 8일 서울 중구 소재 대한상공회의소에서 생명보험협회 주최로 열린 '인슈어테크: 보험의 현재와 미래' 세미나에서 기조연설자로 참석해 이 같이 밝혔다.
최 위원장은 "인슈어테크의 발전은 소비자의 편익 증대, 새로운 시장참여자 등장, 디지털 혁신 촉진 등 긍정적인 측면이 많다"며 "그러나 보험설계사의 일자리 감소, 노령층의 디지털 소외 현상, 빅데이터 활용에 따른 보안문제 등 부정적인 측면도 상존하기 때문에 이와 관련해 장기적인 관점의 정책방향을 고민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인슈어테크는 보험(Insurance)과 기술(Technology)의 합성어로 데이터 분석, 인공지능(AI) 등의 정보기술(IT)을 활용해 기존 보험산업을 혁신하는 서비스를 말한다.
이어 "소규모 자본의 인슈어테크 회사가 보험시장에 진출한 경우 보험사고 발생 시 지급여력이 부족해 기존 보험사에 비해 소비자 보호가 취약할 수 있다"며 "디지털에 친숙하지 않은 장년층, 노년층의 디지털 래그현상, 보험사의 상호부조 기능도 약화할 수 있다"고 지적했다.
금융당국은 보험산업이 인슈어테크를 활용해 새로운 시장을 창출할 수 있도록 하는 동시에 소비자 혜택을 우선적으로 고려한 정책방향을 마련할 방침이다.
최 위원장은 "인슈어테크는 보험의 기본원칙을 준수하고, 부정적인 측면을 해소해야 한다"며 "개인정보 노출, 디지털 소외 현상, 복합위험 노출, 불완전판매, 상호부조 역할 약화 등 인슈어테크로 우려되는 부작용에 충분히 대비할 경우 인센티브가 제공되는 환경을 마련할 예정"이라고 언급했다.
그러면서 최 위원장은 "보험설계사는 노년층, AI는 청년층 등 각각 판매하는 보험상품을 구분할 계획"이라며 "보장내용이 복잡한 보험상품은 설계사가 판매하도록 제한하겠다"고 말했다.
최 위원장은 "또한 소비자보호법을 제정하고 보험광고를 규제하는 방식으로 보험사가 소비자보호원칙을 준수하고 도덕적 해이를 방지하도록 할 것"이라며 "보험설계사에게 계약 철회, 반품 관련 교육을 실시하는 등 불완전판매 근절을 위한 교육을 주기적으로 실시하고, 단체보험 상품을 육성해 보험사의 상호부조 역할을 유지하는 방안도 검토하겠다"고 말했다.
이날 최 위원장에 이어 기조연설을 맡은 김창경 한양대 교수는 인슈어테크 확대로 △AI 활용 언더라이팅 △보험금 자동지급 △블록체인 P2P보험 등이 활성화될 것으로 전망했다.
김 교수는 "아마존에 의해 와해될 것으로 꼽힌 산업 중 일곱번째가 보험산업"이라며 "해외와 달리 우리나라에서는 개인정보법, 의료법 등 관련 규제에 막혀 시행할 수 없는 혁신사례들이 많기 때문에 규제 샌드박스 제도가 적극적으로 활용돼야 한다"고 강조했다.

최종구 금융위원장이 8일 서울 중구 대한상공회의소에서 열린 '인슈어테크: 보험의 현재와 미래' 세미나에서 기조연설을 하고 있다. [사진=금융위원회 제공]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