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돌발해충(벼 먹노린재) 피해 확산 방지를 위해 드론을 활용해 방제를 실시하고 있다.[사진=상주시 제공]
먹노린재는 연 1회 발생하는 해충으로 낙엽이나 잡초, 논둑 등에서 성충으로 겨울을 지내다가 6월 상순부터 본 논으로 이동해 벼 잎과 줄기의 즙액을 빨아먹어 피해를 입힌다.
또 방제가 소홀해 벼 유수형성기에 확산될 경우 큰 피해가 우려되기 때문에 방제할 때 논물을 빼고 저녁이나 새벽에 약을 뿌려야 방제 효과가 높다.
손상돈 소장은 “벼 먹노린재 발생지역의 공동방제를 실시해 신속한 방제를 통해 해충의 발생 밀도를 낮추어 농민들의 피해를 최소화했다”고 말했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