北억류 한국인 선원 2명, 11일 만에 무사 귀환…통일부 "인도주의적 긍정 평가"(종합)

  • 한국인 포함 선원 17명 28일 오후 1시12분께 속초항 입항

[사진=해당사진은 기사와 관련 없습니다. 아주경제 DB]


러시아 어선에 승선했다가 북한에 나포된 한국인 선원 2명이 28일 속초항으로 무사히 귀환했다. 지난 17일 동해상 북측 수역에서 나포된 이후 11일 만이다.

통일부는 이날 러시아 어선 '샹 하이린(Xiang Hai Lin) 8호'가 지난 27일 오후 7시께 한국인 2명과 러시아인 15명 등 선원 17명 전원을 태우고 북한 원산항을 출발해 28일 오후 1시 12분께 속초항에 입항했다고 밝혔다.

샹 하이린 8호는 러시아 국적의 300t급 홍게잡이 어선으로 지난 16일 오후 속초항을 출발해 러시아 자루비노항으로 향하던 중 기관 고장으로 표류하다가 17일 동해상 북측 수역을 넘어 북한 원산항으로 인도됐다.

이 배에 탑승하고 있던 한국인 선원 2명은 각각 50대, 60대 남성으로 러시아 선사와 기술지도 계약을 맺고 감독관 자격으로 승선했던 것으로 파악됐다. 선원들은 모두 건강에는 특별한 이상이 없는 상태로 알려졌다.

이들은 북에 나포된 뒤 러시아 선원들과 함께 원산에 있는 한 호텔에서 머물며 북한 당국의 조사를 받은 것으로 전해졌다.

북한은 해당 선박이 러시아 선박인데다, 한국인들이 러시아 선사에 고용됐다는 점을 고려해 송환 결정을 내린 것으로 풀이된다.

실제 북한은 선원들의 송환 문제를 러시아 당국과 논의해왔으며, 한국 정부의 응답요청에는 반응하지 않았다. 

통일부는 배가 북측에 억류된 사실을 파악한 18일부터 전날까지 개성 남북공동연락사무소를 통해 북측에 수차례 회신을 요청했지만 별다른 답을 받지 못했다. 

이에 정부는 외교부, 주러 한국대사관 등 외교채널을 동원해 러시아 정부와 선원들의 송환 문제 등을 논의해왔다.

특히 북측은 선원들과 선박이 한국으로 귀환하도록 조치된 27~28일까지도 정부에 별도의 통지를 하지 않은 것으로 알려졌다.

통일부는 "북측이 우리 국민을 포함한 인원과 선박을 안전하게 돌려보낸 것에 대해 인도주의적 견지에서 긍정적으로 평가한다"고 밝혔다.

이어 "구체적인 단속 경위 등을 포함한 상세한 내용은 입항 후 관계기관의 추가 조사를 통해 확인할 예정"이라면서 "선박, 인원에 대한 송환 조치는 국제법과 관례에 따른 인도적 조치로 남북관계 상황과는 별개"라고 설명했다.

한편, 최근 10년 간 한국 국적 선박이 월북했다가 억류된 사례는 2건으로, 2010년 8월 '대승호'와 2017년 10월 '흥진호' 사태가 있다.

두 선박은 각각 북측 수역을 침범했다가 나포돼 조사를 받은 뒤 각각 31일, 7일만에 송환된 바 있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제3회 보훈신춘문예 기사뷰
댓글0
0 / 300

댓글을 삭제 하시겠습니까?

닫기

로그인 후 댓글작성이 가능합니다.
로그인 하시겠습니까?

닫기

이미 참여하셨습니다.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