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9 국감] 고용진 "보이스피싱 악성 앱 올해 2.9만개 탐지"

  • 보이스피싱 피해 매년 역대 최고로 커져

올해 초부터 8월까지 '전화가로채기' 또는 '원격조종' 등 신종 보이스피싱 수단으로 이용되는 악성 어플리케이션(앱) 2만9000여개가 탐지된 것으로 나타났다. 보이스피싱 악성 앱이 설치되면 112나 금융감독원에 전화를 해도 사기범이 전화를 가로채기 때문에 피해에 무방비로 노출될 수 있다.

또 피해자가 사기범의 유도에 넘어가 금융정보를 전달하면 원격조종으로 피해자의 카드 앱이나 보험 앱 등을 통해 비대면대출을 실행하거나 모바일뱅킹으로 계좌를 이체해 속수무책으로 당하게 된다.

4일 국회 정무위원회 소속 고용진 더불어민주당 의원이 금융보안원으로부터 받은 자료에 따르면 금융보안원은 올해 1월부터 8월까지 보이스피싱 악성 앱 2만8950개, 월평균 3619개를 탐지했다. 한국인터넷진흥원은 금융보안원이 제공한 탐지정보를 토대로 접속을 차단하고 있다.

지난해 보이스피싱 피해액은 4440억원으로 2017년(2431억원)보다 82.7%(2009억원) 증가했다. 해마다 역대 최고 수준을 경신할 만큼 보이스피싱 피해가 커지고 있다.

이에 정부는 지난해 말 관계기관 합동으로 보이스피싱 종합대책을 발표했다. 금융보안원은 그 일환으로 금융회사, 경찰청, 검찰, 각종 포털사이트 등을 사칭하는 피싱사이트를 탐지하는 시스템을 운용하고 있다.

또 일부 은행과 카드사는 최근 모바일 앱에 악성 앱을 탐지해 금융거래를 중단하는 기능을 적용하고 있다. 기업은행은 통화 내용을 실시간으로 모니터링해 보이스피싱 확률이 높은 경우 알림을 제공하는 앱을 출시하기도 했다.

고용진 의원은 "핀테크 발전으로 금융소비자의 편의가 증진되고 있지만 이 틈을 노린 보이스피싱 수법도 계속 진화하고 있다"며 "한번 피해가 발생하면 피해구제가 쉽지 않은 만큼 금융당국은 더 근본적인 예방책으로 국민의 재산을 보호해야 한다"고 했다.

 

[사진=게티이미지뱅크]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제3회 보훈신춘문예 기사뷰
댓글0
0 / 300

댓글을 삭제 하시겠습니까?

닫기

로그인 후 댓글작성이 가능합니다.
로그인 하시겠습니까?

닫기

이미 참여하셨습니다.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