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주열 한국은행 총재는 16일 금융통화위원회 본회의 직후 열린 기자간담회에서 "앞으로 국내경제 성장 흐름은 글로벌 무역분쟁 지속과 지정학적 리스크 등으로 지난 7월 전망치를 하회할 것으로 보인다"며 "이에 따라 기준금리를 0.25% 포인트 인하(1.50%→1.25%)하기로 결정했다"고 밝혔다.
이 총재는 지난 8일 국정감사에서도 2.2% 성장률 달성 전망에 대해 "쉽지 않아 보인다"고 말한 바 있다.
이에 따라 한은은 다음달 발표하는 수정 경제전망에서 성장률 전망치를 추가로 하향 조정할 것으로 보인다. 시장에선 다음달 한은이 올해 경제성장률 전망치를 1.9~2.0% 수준으로 낮출 것으로 전망하고 있다.
국제통화기금(IMF)도 15일(현지시간) 올해 한국 경제성장률 전망치를 기존 2.6%에서 2.0%로 대폭 낮췄다. 내년도 전망치 역시 지난 4월 전망치(2.8%)보다 0.6% 포인트 내린 2.2%로 조정했다.
한은은 최근 수정 전망을 발표할 때마다 경제성장률을 낮추는 중이다. 지난해 1월 한은이 예측한 올해 경제성장률은 2.9%였다. 그러나 잇따라 하향 조정하며 지난 7월 2.2%까지 내려온 상태다. 이는 글로벌 금융위기 당시인 2009년 이후 최저치다.
물가상승률을 비롯해 주요 경제지표 전망치도 낮춰 잡고 있다. 물가상승률 전망치는 올 1월에 1.4%로 예상했지만 4월 1.1%, 7월 0.7%로 계속 떨어뜨렸다. 이는 한은의 물가안정목표인 2.0%에 크게 못 미치는 수준이다.
지난 1월 690억 달러를 기록할 것으로 예상한 올해 경상수지 흑자 전망치 역시 꾸준히 하향 조정하며 7월 수정 전망 땐 590억 달러로 대폭 낮춰 잡았다. 수출 증가율 전망치는 1월 3.1%에서 7월 0.6%로, 설비투자 증가율 전망치는 같은 기간 2.0%에서 -5.3%로 기대치를 낮췄다.

이주열 한국은행 총재가 16일 오전 서울 중구 한은 기자실에서 기자간담회를 열고 있다. [연합뉴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