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번 사업은 지난해부터 3개 부·청이 공동 기획한 것으로 사업 타당성을 인정받아 2021년부터 7년간 총 3867억 원(국비 3333, 민자 534) 규모의 사업 추진이 가능해졌다.
기존 스마트팜 R&D가 농업 편의성 제고를 위한 1세대 스마트팜 개발에 집중한 것과 달리, 이번 사업은 데이터 기반의 지능형 의사결정을 통해 저투입·고효율의 안정적 농축산물 생산이 가능한 스마트팜을 구현하고자 한다.
이를 위해 △현행 스마트팜 기술 고도화 및 현장 실증 △자동화된 지능형 농장을 구현하기 위한 차세대 원천기술 개발 등 2개 내역 사업을 구성해 연구할 계획이다.
이를 위해 3개 부·청은 별도의 사업단 설립 절차에 조속히 착수해 사업단에 범부처 스마트팜 R&D 컨트롤타워 역할을 부여할 계획이다.
또한 연구자들이 연구 데이터를 저장·분석·공유할 수 있도록 스마트팜 R&D 빅데이터 플랫폼을 내년에 조기 구축할 예정이다.
윤동진 농식품부 농업생명정책관과 홍성진 농촌진흥청 연구정책국장은 "이번 사업을 통해 국내 스마트팜 기술이 한 세대 발전할 것"이라며 "청년들이 농업에서 매력을 느끼고 농업에 도전할 수 있도록 스마트팜 R&D가 인식 대전환을 가져오겠다"고 말했다.
최원호 과기정통부 거대공공연구정책관은 "인공지능과 빅데이터, 로봇, 에너지 등 기초·기반기술과 농업 간 가교역할을 충실히해 우리 농업이 글로벌 경쟁력 있는 산업으로 자리매김할 수 있도록 힘쓰겠다"고 밝혔다.

[사진=게티이미지뱅크]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