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고동진 삼성전자 IM부문장(사장)이 29일(현지시간) 미국 캘리포니아에서 열린 '삼성 개발자 콘퍼런스 2019'에서 기조연설을 하고 있다. [사진=삼성전자 제공]
이번 콘퍼런스에서 삼성전자는 인공지능(AI)·사물인터넷(IoT)·차세대 사용자 경험(UX)·보안 등 다양한 분야의 신규 개발도구와 서비스, 미래 비전을 공개했다. 올해 행사는 '미래를 만나는 곳(Where Now Meets Next)'라는 주제로 AI·IoT·5세대 이동통신 등에 대한 80여개의 세션과 패널 토론이 진행됐다. 전 세계 개발자·서비스 파트너·디자이너 등 5000여명이 참석했다.
고동진 삼성전자 IM부문장(사장)은 기조연설을 통해 "세계 최고 수준의 개발자·파트너들과의 협력이 없었다면 자사는 현재와 같은 광범위하고 안전한 에코시스템을 구축할 수 없었을 것"이라며 "앞으로도 언제 어디서나 끊김 없이 자연스럽게 연속되는 새로운 모바일 경험을 제공하기 위한 혁신을 지속할 것"이라고 말했다.
삼성전자는 이날 지난해 SDC에서 첫선을 보인 갤럭시 스마트폰 전용 UX를 개선한 '원(One) UI 2'를 공개했다.
삼성전자의 AI 플랫폼 '빅스비' 개발 통합 도구인 '빅스비 개발자 스튜디오'의 신규 기능들도 공개했다. 빅스비 템플릿을 통해 복잡한 코딩 작업 없이도 누구나 빅스비 캡슐(빅스비 지원 기기에서 이용할 수 있는 서비스)을 개발할 수 있다. 빅스비 뷰, 자연어 카테고리 등 개발자들을 지원하는 다양한 도구가 지원된다.
빅스비 개발자 규모는 지난 6개월 간 2배 이상 성장했으며, 내년 빅스비 마켓플레이스가 스마트폰뿐 아니라 다른 기기에서도 제공되면 지속 확대될 것으로 예상된다는 게 회사 측 설명이다.
월 4500만명이 이용하고 있는 삼성전자의 IoT 플랫폼인 스마트싱스(SmartThings)도 강화된다. 삼성전자는 파트너사들의 기기에 스마트싱스 허브 소프트웨어를 설치할 수 있는 'WASH(Works as a SmartThings Hub)' 프로그램을 선보였다.
현재의 네트워크 인프라에서 끊김없이 8K 영상 전송을 가능하게 하는 'AI 스케일넷'도 소개됐다. AI 스케일넷은 영상을 압축하거나 재생할 때 발생할 수 있는 데이터 손실을 AI 기술을 통해 최소화하는 기술이다.
이번 개발자 콘퍼런스에 대한 자세한 내용은 삼성 개발자 콘퍼런스 공식 웹사이트에서 확인할 수 있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