민주당 총선기획단은 21일 국회에서 개최한 3차 전체회의에서 이렇게 결정했다고 강훈식 기획단 대변인이 브리핑을 통해 밝혔다.
강 대변인은 "권리당원과 일반 국민 모두 홈페이지를 통해 국민공천심사단으로 신청할 수 있다"며 "그 중 200∼300명을 추출해 별도 숙의심사단을 구성한다"고 전했다.
일반 심사단은 온라인으로 생중계되는 정견발표를 시청, 온라인 투표를 통해 평가에 참여토록 할 예정이다.
비례대표 후보의 순번은 중앙위원회에서 순위 투표를 통해 결정하기로 했다.
숙의심사단 선출 방식의 경우 추후 구성되는 비례대표공천관리위원회가 논의를 거쳐 결정할 예정이다.
아울러 민주당은 경제, 외교·안보 등 각 분야 전문가 등 당의 전략적 고려가 필요한 비례대표 후보자의 경우 별도의 추천 과정을 거칠 계획이며, 그 범위나 규모는 역시 계속 논의하기로 했다.
강 대변인은 "국민공천심사단 규모는 100만명까지 될 수 있다고 생각한다"며 "공정하고 투명한 방식으로 국민 눈높이에 맞는 비례대표 후보를 선발하겠다"고 말했다.

더불어민주당 총선공천제도기획단 간사인 강훈식 의원이 16일 오후 국회 정론관에서 이날 열린 4차 회의 결과를 브리핑한 후 기자들의 질문에 답하고 있다. [사진=연합뉴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