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일 환경부에 따르면 올해 상반기 스마트 상수도 관리체계 구축을 위한 기본계획을 세우고, 하반기부터 2022년까지 전국에 스마트 관리체계를 순차적으로 구축할 계획이다.
스마트 관리체계는 수질, 수량, 수압 모니터링 장치와 자동 배수 설비 등을 관망에 설치해 정수장에서 수도꼭지까지 수질, 유량 등을 실시간으로 감시하고 수돗물 사고가 발생하면 오염된 수돗물을 차단하는 시스템을 말한다. 총사업비 약 1조4000억원이 투입된다.

스마트 상수도 관리체계[자료=환경부]
파주시는 시범 사업 후 수돗물 직접 음용률(2016년 기준)은 전국 평균(7.2%)보다 5배 이상 높은 36.3%로 집계됐다.
정부는 또 노후 상하수도 교체·개량 중심 행정을 전환해 수도시설 유지·관리 비용을 절감할 수 있을 것으로 봤다.
환경부 관계자는 "이르면 올해 말 44개 지자체 주민들은 수돗물 수질 관련 정보를 받아볼 수 있다"며 "'워터 코디', '워터 닥터'는 당장 도입하기는 어렵고 스마트 관리체계가 어느 정도 구축한 이후 시행될 수 있다"고 말했다.
환경부는 관련 업체를 대상으로 오는 15일 정부세종컨벤션센터에서 '스마트 상수도 관리체계 정책·기술 토론회'를 연다. 스마트상수도 관리체계 구축 사업 추진 현황을 공유하고, 주요 기술별 설계 기준을 논의한다.
수도시설 잔존 수명을 예측하고 적기에 보수해 사고를 예방하는 '생애주기 관리체계(자산관리)' 시범 사업 추진방안도 논의한다.
김영훈 환경부 물통합정책국장은 "스마트 관리체계 사업을 차질없이 추진해 깨끗한 물이 각 가정까지 안전하게 도달될 수 있도록 최선의 노력을 다하겠다"고 말했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