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0일(현지시간) CNBC와 월스트리트저널(WSJ) 등에 따르면 미국 상무부는 지난해 4분기 국내총생산(GDP) 성장률 속보치가 연율 2.1%라고 밝혔다. 지난해 3분기 성장률과 동일하며 전문가들의 전망치와 부합하는 수치다.
이날 발표된 성장률은 속보치로 향후 집계되는 잠정치와 확정치에서 수정될 수 있다.
분기별로는 1분기 3.1%에서 2분기 2.0%로 급격히 둔화했다가 3~4분기 2.1%로 제자리걸음을 이어간 흐름이다. 상무부는 개인 소비와 수출이 감소한 결과라고 설명했다.
미국이 2%대 성장률을 가까스로 지켜낸 것은 '관세 효과'에 따른 것으로 분석된다. 4분기 수출은 1.4% 늘었고, 수입은 8.7% 급감했다. 대중국 관세를 잇달아 부과하면서 무역지표가 개선된 결과다.
순수출의 GDP 기여도는 1.48%포인트로 집계됐다. 순수출의 기여도는 지난 2009년 2분기 이후로 최고 수치다.
미국의 지난해 연간 성장률은 2.3%로 집계됐다. 지난 2016년 1.6% 이후로 가장 낮은 수치로, 도널드 트럼프 행정부 출범 이후로는 최저 성장률이다.
트럼프 행정부는 2017년 말 대대적인 감세를 단행했고, 이듬해인 2018년에는 2.9%로 3%에 육박하는 성장률을 기록한 바 있다.
WSJ은 "이번 지표는 미국 경제 성장세가 느리고 꾸준한 속도로 후퇴하고 있다는 것을 보여준다"고 평가했다.
![](https://image.ajunews.com/content/image/2020/01/31/20200131101720141914.jpg)
[사진=AP·연합뉴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