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조희연 서울시교육감이 지난 26일 서울 여의도 국회에서 열린 교육부 등 종합감사에서 질의를 듣고 있다. [사진=연합뉴스 제공]
29일 서울교육청에 따르면 조희연 서울교육감 홈페이지 시민청원 게시판에 지난 8월 24일 선지원·후추첨 방식의 중학교 배정 정책에 반대한다는 청원글이 올라왔다. 이에 지난 20일 서울교육청은 “서울형 중학교 배정 검토(안)은 현재 존재하지 않으며, 도입 여부·시기는 확정된 바 없다”는 답변을 내놓았다.
해당 청원에는 "갑작스러운 서울형 중학교 배정 설문에 당황해 청원한다"며 "학부모들은 근거지 중학교를 원하는데 집 앞 학교를 두고 30~50분 거리 통학을 감내라하는 것 같아 분통이 터진다"고 주장했다.
앞서 서울교육청은 공주대학교 산학협력단에 연구용역을 맡겨 서울 시내 초3·초4·중1 학부모를 대상으로 '중학생 신입생 배정 방법 개선을 위한 설문조사'을 벌였다. 해당 설문에 '중학교 배정의 공간적 제한 범위는 어디까지 적합하냐'는 질문과 물음에 대한 답변으로 '서울전역'이 포함된 것으로 알려져 논란이 생겼다.
이어 "현 학교군·배정방법에 대해 심층분석이 필요하다고 판단해 연구용역을 진행하게 됐다"며 "연구과정에서 학부모의 배정방법 인식조사·다양한 의견 수렴을 위해 설문조시를 실시했다"고 강조했다.
강남 집값 변동 요인 중 하나가 교육이다. 이에 일각에선 서울형 중학교 배정으로 특정 지역 쏠림 현상이 있을 수 있다는 의견이 나오기도 했다.
하지만 서울교육청은 이런 지적에 반박했다. 서울교육청은 "일부 언론에서 '강남 집값 잡겠다고 중학교 배정을 손댄다'는 왜곡된 내용을 바로 잡기 위해 언론중재위원회에 정정보도를 요청했다"고 전했다. 또 현재 연구방향과 전혀 다르다는 점을 분명히 했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