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정세균 국무총리가 29일 정부서울청사에서 열린 국정현안점검조정회의를 주재하고 있다.[사진=연합뉴스]
정 총리는 이날 정부서울청사에서 열린 국정현안점검조정회의에서 ‘제4차 저출산 고령사회 기본계획안’ 관련 “저출산 문제가 여전히 해소되고 있지 않아 걱정이 매우 크다”고 우려했다.
정부에 따르면 지난 2005년 저출산고령사회 기본법을 제정한 후 예산 투입 등 다각적인 노력을 기울여 왔다. 하지만, 우리나라의 합계출생률은 0.84명으로 경제협력개발기구(OECD) 국가 중 가장 낮다. 지난해 11월 이후 ‘데드 크로스’가 이어져 인구의 자연감소 우려도 현실화하고 있다.
정 총리는 “우리보다 앞서 저출산 위기를 겪은 프랑스가 이를 극복한 것은 ‘아이는 여성이 낳지만 사회가 함께 키운다’라는 패러다임의 전환이 있었기 때문”이라고 설명했다.
이어 “고부가가치 산업인 신약, 신의료기기 등 보건의료 분야에서 새로운 시장이 열릴 수 있도록 국민건강 정보를 폭넓게 제공할 것”이라며 “민감 정보라 공개가 어려웠던 국세 데이터도 이용자 수요에 맞추어 공개범위를 넓혀 나가겠다”고 덧붙였다.
또 다른 안건인 ‘지식재산 거래 활성화 방안’ 관련 그는 “그동안 연구개발(R&D)이 공공 연구기관, 대학 등 공급자 중심으로 이루어져 실제 사업화로 연계되지 못하는 구조적인 한계가 있었다”며 “정부는 지식재산 거래의 수요-중개-공급 전 과정을 효율적으로 연계하는 네크워크를 대폭 확충하고 이를 지원하는 민간기관 육성에 적극 나설 계획”이라고 말했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