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일 단말기 업계에 따르면, 애플코리아는 지난 8월 식약처로부터 애플워치에서 '심전도 측정 앱'을 활성화하기 위한 허가를 받고, 차기 워치OS에 심전도 측정 기능을 활성화한다고 밝혔다. 애플워치 시리즈4와 그 이후 모델(애플워치5, 애플워치6, 애플워치SE)에서 관련 기능을 이용할 수 있으며, iOS14.2 및 워치OS7.1 업데이트를 받아야 관련 기능을 활성화할 수 있다. OS 업데이트는 곧 제공할 예정이다.
심전도 측정은 전기 신호를 활용해 부정맥의 가장 일반적인 형태인 심방세동(AFib)의 징후를 사전에 감지하는 기능이다. 심방세동을 치료하지 않고 방치할 경우 전 세계 2위 사망원인인 뇌졸중으로 이어질 수 있다는 게 의료진의 설명이다.
삼성전자는 혈압, 산소 포화도 측정과 함께 심전도 측정을 갤럭시워치3의 핵심 기능으로 강조하고 있다. 예전에는 병원에 가야만 알 수 있었던 건강 데이터를 이젠 스마트워치만 있으면 언제 어디서든 손쉽게 알 수 있다는 것이다. 매일 변하는 혈압, 산소 포화도, 심전도를 삼성 헬스 앱에 기록함으로써 이용자의 건강 변화와 위험 징후를 사전에 파악할 수 있다. 갤럭시워치 액티브2에선 혈압과 심전도를 측정할 수 있다.
애플 역시 심전도, 부정맥, 산소 포화도를 애플워치로 측정하고 이를 애플 건강 앱에 기록함으로써 24시간 이용자 건강 상태 모니터링이 가능하다고 강조하고 있다.
애플은 600여명의 참가자를 대상으로 실시한 임상 시험을 통해 심전도 측정 앱의 정확도를 공개했다. 심전도 측정 앱은 심방세동의 분류에선 98.3%의 민감도를, 정상박동의 분류에선 99.6%의 구분 가능성을 보였다. 전체 측정 기록의 87.8%를 심전도 앱으로 분류할 수 있었다.
다만, 의료계에선 스마트워치에 탑재된 혈압, 심전도, 부정맥 측정 기능을 맹신하는 것은 금물이라고 강조했다. 전문적인 의료기기와 비교해 정확성 측면에서 차이가 날 수밖에 없다는 것이다. 실제로 삼성전자, 애플도 스마트워치는 몸의 이상을 확인하는 참고용으로만 이용하고, 의사에게 자세한 검사와 치료를 받아야 한다고 강조하고 있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