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청와대 특별감찰반의 민간인 사찰 의혹 등을 폭로한 혐의(공무상 비밀누설)로 기소된 김태우 전 검찰 수사관이 8일 오전 경기도 수원시 수원지방법원에서 열린 선고공판에서 징역 1년에 집행유예 2년을 선고받고 나와 취재진 질문에 답하고 있다. [사진=연합뉴스 제공]
청와대 특별감찰반으로 근무할 당시 획득한 사실 등을 폭로해 공무상 비밀누설 혐의로 재판에 넘겨진 김태우 전 특감반원(검찰 수사관)에 대해 법원이 유죄를 선고했다.
수원지법 형사1단독 이원석 부장판사는 8일 공무상 비밀누설 혐의로 기소된 김 전 수사관에 대해 징역 1년을 선고하고 2년간 집행을 유예했다.
재판부는 "(김 전 수사관 기밀누설은) 대통령 인사권과 특감반에 대한 국민적 의구심을 불러일으켜 인사와 감찰이라는 국가 기능에 위협을 초래할 위험을 야기했다"고 판시했다.
재판부는 자신의 폭로가 공익신고자 보호법, 부패방지법 등에 따라 정당한 행위였다고 주장한 김 전 수사관 측 주장에 대해 "수사기관 고발이나 감사원 제보 등 이미 마련된 제도적 절차를 통해서 얼마든지 관련 의혹을 제기할 수 있었다"며 받아들이지 않았다.
실제로 김 전 수사관에 의한 무차별적인 비밀누설이 이어지자 특감반에서는 메뉴얼이 만들어졌다고 한다. 보고 의무나 투명성을 확보하기 위한 규정들이 세세하게 만들어졌다. 이는 '유재수 감찰무마' 혐의 재판에 나온 박형철 전 반부패비서관 증언에서 확인된다.
유재수 감찰무마 사건은 청와대 민정수석실이 2017년 8월 금융위원회 국장으로 있던 유 전 부산시 경제부시장이 업체들로부터 금품과 편의를 제공받았다는 비위 혐의를 포착하고 특별감찰에 착수했다가 '윗선'의 개입으로 3개월여 만에 돌연 중단했다는 의혹으로, 김 전 수사관의 폭로로 불거졌다.
재판에 나온 당시 특감반원들은 공통적으로 감찰종료는 민정수석의 권한이라는 증언을 했다. 특감반은 수사기관이 아니기 때문에 강제수사 권한이 없었고, 당시 유 전 부시장이 협조를 하지 않았기 때문에 더이상 감찰을 진행할 수 없었다는 설명이다.
검찰은 2019년 4월 김 전 수사관을 기소하면서 '유재수 감찰무마' 의혹은 공무상 비밀에 해당하지 않는다고 보고 공소사실에 포함하지 않았다.
김 전 수사관은 재판이 끝난 뒤 "판결 내용을 검토하고 즉각 항소하겠다"고 밝혔다. 검찰도 판결문을 검토하고 항소여부를 결정할 것으로 보인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