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어린이대공원 텃밭 힐링포토존 [사진제공=서울시]
서울어린이대공원이 코로나 시대에 맞춤형으로 변화를 시도한다.
서울시설공단은 광진구 능동 서울 어린이대공원을 시민들이 보다 안전하게 이용할 수 있도록 시설개선을 진행하고, 다양한 비대면 프로그램을 도입한다고 28일 밝혔다.
공단이 위드 코로나 시대에 포스트 코로나까지 대비한 개선안의 핵심은 시설 개선과 비대면 콘텐츠 확대다.
아울러 관람객이 집중되는 시설의 대기줄을 개선했다. 공단은 어린이를 동반한 이용객들은 개인별 줄서기가 어렵고, 일행 간 거리두기가 불필요한 현실적 상황을 고려해 기존 선 형태에서 4인 이내 일행이 함께 대기할 수 있는 ‘네모칸’ 대기줄을 놀이동산, 식물원, 열대동물관 등 총 19여 곳에 설치했다. 또 출입구를 일원화해 체온 측정 등 방역 절차가 철저히 이행될 수 있도록 했다. 피크닉 이용이 많은 잔디밭은 3m 간격을 두고 동그라미 표시를 해두어 일행 간 안전하게 휴식을 즐길 수 있게 됐다.

어린이대공원 비대면콘텐츠 생태체험교실 [사진제공=서울시]
자원봉사 프로그램도 비대면으로 시범 운영 중이다. 1365 자원봉사 포털을 통해 신청한 봉사자들은 지정 장소에 비치된 활동 도구를 개인별 수령 후 자율적 봉사활동을 실시 하고, 활동보고서와 인증샷을 SNS 전송을 통해 마무리 할 수 있도록 하고 있다. 이러한 비대면 콘텐츠 운영을 통해 물리적·시간적 장벽을 해소하고, 어린이대공원이 시민들의 일상과 더욱 가까워질 수 있을 것으로 공단은 기대하고 있다.
구의문 주변에 꽃과 나무 1만8000본이 식재 된 암석원, 테마정원을 조성해 사계절 다양한 볼거리가 제공될 수 있는 힐링 산책공간도 마련 중이다. 해당사업은 오는 7월3일까지 완료해 시민들에게 개방할 예정이다.
조성일 서울시설공단 이사장은 “코로나 시대에는 안전한 방역망 속에서 쾌적하게 공원을 즐길 수 있는 환경을 조성하는 것이 무엇보다 중요하다”며 “온오프라인에서 어린이대공원을 방문한 모든 시민이 코로나로 지친 마음을 달랠 수 있도록 시설과 프로그램을 지속적으로 개선해 나가겠다”고 말했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