NHN이 연결기준 매출 4617억원, 영업이익 238억원, 순이익 152억원을 기록한 2분기 실적을 13일 공개했다. 2분기 매출이 전년 동기 대비 14% 증가한 가운데 게임 부문의 매출 부진을 결제·광고, 커머스, 기술, 콘텐츠 부문 매출로 상쇄했다.
계절적 비수기, 코로나19에 따른 오프라인 이벤트 부재 영향을 받은 게임 부문 매출은 17.6% 감소한 869억원을 기록했고, 이가운데 PC와 모바일을 합한 웹보드 게임 매출은 증가했다. NHN한국사이버결제(NHN KCP) PG매출과 광고사업 물량확대, 3배 이상 성장한 NHN페이코의 '페이코 오더' 주문금액과 65% 증가한 모바일식권 등 오프라인서비스 성장세가 더해진 결제·광고 부문 매출은 25.1% 증가한 1962억원(분기최대)을 기록했다.
커머스 부문 매출은 NHN커머스의 PG·솔루션 매출 증가와 미국 소매시장 활성화에 따른 NHN글로벌의 매출 증가로 19.2% 증가한 796억원(분기최대)을 달성했다. 기술 부문 매출은 NHN클라우드 사업 확대, 글로벌 매니지드서비스사업(MSP) 호조로 51.3% 증가한 600억원(분기최대)을 기록했다. 콘텐츠 부문 매출은 NHN벅스의 B2B 매출 증가, NHN티켓링크의 콘텐츠제작 매출 기여, NHN코미코 매출 개선 등으로 15.9% 증가한 459억원을 기록했다.
정우진 NHN 대표는 "올해 2분기는 결제 및 광고, 커머스, 기술 등 신사업 영역에서 모두 분기 최대 매출을 기록하며 종합 IT기업으로서의 경쟁력과 가능성을 한번 더 확인할 수 있었던 기간이었다"라며 "NHN은 클라우드, AI 등 자체 기술력을 지속 확장해가는 한편, 전문적인 독립법인 설립으로 사업을 가속화해 오는 2030년까지 ‘글로벌 탑티어 테크 컴퍼니’로 발돋움해 나갈 것"이라고 말했다.
계절적 비수기, 코로나19에 따른 오프라인 이벤트 부재 영향을 받은 게임 부문 매출은 17.6% 감소한 869억원을 기록했고, 이가운데 PC와 모바일을 합한 웹보드 게임 매출은 증가했다. NHN한국사이버결제(NHN KCP) PG매출과 광고사업 물량확대, 3배 이상 성장한 NHN페이코의 '페이코 오더' 주문금액과 65% 증가한 모바일식권 등 오프라인서비스 성장세가 더해진 결제·광고 부문 매출은 25.1% 증가한 1962억원(분기최대)을 기록했다.
커머스 부문 매출은 NHN커머스의 PG·솔루션 매출 증가와 미국 소매시장 활성화에 따른 NHN글로벌의 매출 증가로 19.2% 증가한 796억원(분기최대)을 달성했다. 기술 부문 매출은 NHN클라우드 사업 확대, 글로벌 매니지드서비스사업(MSP) 호조로 51.3% 증가한 600억원(분기최대)을 기록했다. 콘텐츠 부문 매출은 NHN벅스의 B2B 매출 증가, NHN티켓링크의 콘텐츠제작 매출 기여, NHN코미코 매출 개선 등으로 15.9% 증가한 459억원을 기록했다.
정우진 NHN 대표는 "올해 2분기는 결제 및 광고, 커머스, 기술 등 신사업 영역에서 모두 분기 최대 매출을 기록하며 종합 IT기업으로서의 경쟁력과 가능성을 한번 더 확인할 수 있었던 기간이었다"라며 "NHN은 클라우드, AI 등 자체 기술력을 지속 확장해가는 한편, 전문적인 독립법인 설립으로 사업을 가속화해 오는 2030년까지 ‘글로벌 탑티어 테크 컴퍼니’로 발돋움해 나갈 것"이라고 말했다.

NHN 사옥 '플레이뮤지엄'[사진=NHN 제공]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