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지난 29일 김해에서 찾아가는 지역 바이오 카라반 행사를 진행했다. [사진=김해시 제공]
이번 행사는 바이오헬스산업의 최신 동향을 소개하고 지역 바이오기업의 애로사항을 청취하기 위한 자리로 김해와 진주 바이오 관련 12개 기업과 산자부, 경남도, 김해시 관계자가 참석했다.
이 자리에서 산자부 김영만 바이오융합과장은 관련 기업들을 대상으로 ‘바이오헬스 분야 산업생태계 조성 추진상황’을 발표하고 정부 차원에서 추진하고 있는 바이오헬스산업의 최신 동향과 주요 성과들을 설명했다.
또 지역 바이오기업들은 제품 개발과 홍보, 인력 부족 등 애로사항들을 질의했고 산자부와 한국바이오협회 등 유관기관들은 해결방안으로 전문가 매칭, 정보 접근방법 등을 안내했다.
김해시 관계자는 “동남권 바이오산업의 경쟁력 향상으로 이어지는 뜻깊은 자리가 되었다”며 “앞으로도 김해시는 중앙정부, 경남도와 협력하여 위드 코로나 시대에 적합한 바이오산업을 육성하는데 적극 앞장서겠다”고 밝혔다.
한편 이번 행사는 작년 12월 강원지역(춘천, 원주, 강릉 등)을 시작으로 올해 3월 충청권(대전, 충북, 충남 등), 6월 호남권(광주, 전남, 전북) 기업을 대상으로 진행됐으며 향후 대구경북권, 제주권 등에서도 개최 예정이다.

김해시가 10월부터 구제역과 AI 등 특별방역대책을 추진하고 차단을 위한 방역을 강화하기로 했다. [사진=김해시 제공]
김해시는 오는 10월부터 내년 2월까지를 구제역과 조류인플루엔자(AI) 차단 특별방역대책기간으로 정해 가축전염병 차단방역을 강화한다고 30일 밝혔다.
이번 특별방역대책은 최근 강원지역에서 잇따른 아프리카돼지열병(ASF)과 겨울철 발생 위험이 높은 구제역, AI 차단을 위한 것으로 24시간 상황 유지와 농가별 차단방역, 모니터링을 강화하는 것이 골자다.
김해 축산농가 현황을 보면 소 사육농가 708호(3만4000두), 돼지 108호(19만두), 닭 527호(100만수)이며 이와 연계된 전국 최대 축산물종합유통센터(도축장)와 사료공장 3개소, 집유장 1개소, 병아리 부화장 1개소, 양돈단지 1개소, 축산물가공업소 1200개소를 비롯해 가축인공수정소, 종돈장, 동물약품업소, 가축시장 등 연계산업이 밀집해 있다. 이 때문에 가축전염병 발생 시 재난형에 가까운 막대한 피해가 우려된다.
이에 따라 시는 김해축협 공동방제단과 시 자체 방역차량 2대를 동원해 소규모 한ㆍ육우(10두 미만), 돼지(500두 미만), 닭(3000수 미만) 사육농가 중점 소독을 실시하고 공수의사 7명을 읍면동별 지정 배치해 1일 가축질병 예찰로 의심축 발생 시 신속히 조치한다.
아울러 우제류(소, 돼지, 염소 등) 구제역 항체율을 높이기 위해 10월 중 백신공급과 접종을 완료할 예정이다. 특히 소규모(소 50두 미만) 농가에 대해선 전액 무상공급과 접종을 실시해 구제역 항체율을 높일 계획이며 관계기관과 협조하여 도축장, 농장에서 구제역 항체 양성률 검사로 농가 관리를 강화할 방침이다.
이와 더불어 고병원성 AI는 올 초 진주, 합천, 통영 등 도내 5개 시·군에서 발생해 막대한 피해를 입혀 긴장의 끈을 놓을 수 없는 상황으로 시는 AI 방역취약농장을 선정하여 농가별로 공무원을 지정, 방역ㆍ예찰을 강화한다.
특히 AI는 야생 조류(철새)에 의해 전염(확산)되는 경우가 많아 김해축협의 공동방제단과 시 방역차량을 동원해 철새 도래지, 낙동강, 저수지 주변을 중심으로 소독을 강화해 나갈 계획이며 특히 한림 화포천은 축산(닭)차량 출입통제 구역으로 설정해 관련차량이 진입하지 못하도록 할 계획이다.
아울러 시는 생산자단체, 계열화사업자와 방역 협력을 통해 책임방역을 강화할 수 있도록 할 예정이며 축산관련차량은 거점소독시설에서 반드시 소독 후 지역 안팎으로 이동할 수 있도록 축산차량 GPS를 통해 관리를 강화한다.
정창동 축산과장은 “가축전염병은 예방이 최선인 만큼 구제역 백신 접종을 철저하게 지키고 농장 안팎 소독과 생석회 도포, 방조 방충망, 농장울타리, 방역실 등 8대 방역시설을 반드시 갖춰야 한다”며 “의심 가축 발견 시 즉시 신고해 주시기를 당부드린다"고 말했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