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조 바이든 미국 대통령이 4월 12일(현지시간) 반도체 웨이퍼를 들고 글로벌 주요 반도체 기업 관계자들이 참석한 반도체 공급망 화상회의에서 발언하고 있다. [사진=AP·연합뉴스]
26일 산업통상자원부는 미국 상무부와 25일 화상으로 국장급 회의를 개최했다고 밝혔다. 이날 회의에서는 최우석 산업부 소재융합국장과 모니카 고먼(Monica Gorman) 미국 상무부 제조 담당 부차관보가 참석했다. 회의에서는 반도체 파트너십을 비롯해 양국의 산업협력 대화 개최에 관해 논의했다.
앞서 미국 정부는 삼성전자·SK하이닉스를 포함한 글로벌 반도체 업체들에게 제품별 매출액과 재고 등 민감한 영업 정보를 묻는 설문지를 보냈다. 답변 기한은 내달 8일까지다. 미국은 자국의 반도체 공급 부족 우려가 커지자 이를 사전에 파악하기 위한 용도로 각 기업에 정보를 요구했다. 다만 기업은 현재 제출을 꺼리는 상황이다.
이에 우리 정부는 통상교섭본부의 채널을 가동해 미국 정부와 대화에 나섰다. 우선 큰 틀에서 자료 제출의 가능성은 열어두지만 민감 정보는 빼는 방향으로 미국과 협상 중인 것으로 알려졌다.
아울러 미국 상무부의 반도체 공급망 자료 요청에 대해서도 우리 측은 국내 산업계의 우려가 크다는 점을 충분히 설명하고 향후에도 미국 정부와 긴밀히 협의해 나가기로 했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