화웨이 "친환경 데이터센터는 선택 아닌 필수...모듈식으로 시장 선도"

  • 지능화·저탄소화 도전 직면한 데이터센터 업계 지원 의사 내비쳐

손루원 한국화웨이 최고경영자 [사진=화웨이]

한국화웨이가 지난 22일 '지능형 데이터센터, 미래를 짓다'는 주제로 개최한 '2022 화웨이코리아 IDC 에너지 서밋'을 성료했다고 밝혔다.

24일 한국화웨이에 따르면 이번 서밋에는 데이터센터 업계 전문가와 다양한 기업 관계자 200명 이상이 참석해 한국 데이터센터 산업의 발전 동향과 향후 시장 전망, 저탄소 지능형 데이터센터 관련 최신 기술, 데이터센터 라이프사이클 기반의 합리적인 총소유비용(TCO)에 대해 논의했다.
 
손루원 한국화웨이 최고경영자(CEO)는 기조연설에서 "향후 데이터센터 산업은 지능화, 저탄소화 방향으로 발전해갈 것이다. 이러한 방향은 데이터센터 산업에 전례없는 도전 과제가 될 것이다. 기업 및 산업이 협업하여 함께 해결해 나가자"고 말했다.

'한국 데이터센터 현황과 발전 전망'이란 주제로 발표를 진행한 한국데이터센터 에너지효율 협회 송준화 사무국장은 "디지털화가 가속화되고 클라우드 및 데이터 수요가 증가함에 따라 IDC 산업이 급속하게 성장하고 있다. 2021년 기준, 상용 데이터센터는 37개로 11% 이상 성장했고, 필수 IT전력사용량은 400MW를 넘어섰다. 2025년까지 22개의 새로운 상용 데이터센터가 건립되고 필수 IT 전력사용량은 1100MW를 초과할 것으로 예상된다"고 전망했다.

제리 장 화웨이 글로벌 데이터센터 에너지 사업부문 부사장은 긴 건축 기간, 높은 에너지 소비, 운영관리 어려움, 설비의 신뢰도 문제 등을 기존 데이터센터 구축의 중점 과제로 정의하고 친환경 저탄소 데이터센터 구축을 위한 4가지 개선 방안을 제안했다.

화웨이의 조립식 모듈러 데이터센터는 과거 20개월이 소요되던 콘크리트 구축 방식을 조립식 모듈 방식을 통해 최대 9개월로 단축할 수 있으며, 전력효율지수도 1.75에서 1.20으로 줄일 수 있다는 것이 강점이다.

손루원 CEO는 "한국은 글로벌 디지털경제의 선두 국가이며, 한국 데이터센터 산업이 급성장하고 있다. 화웨이는 혁신적인 제품 및 솔루션, 글로벌 시장에서의 다양한 비즈니스 경험과 개방적이고 협력적인 자세로 고객, 파트너, 산업 체인과 적극 협력하여 한국 데이터센터 산업이 지능형 및 저탄소화로 발전해갈 수 있도록 기여하겠다"고 밝혔다.

화웨이는 전 세계에 200개 이상의 데이터센터를 자체 구축해 운영하고 있다. 2002년 이후 180개 이상의 중대형 데이터센터를 고객들에게 공급했다. 현재 화웨이는 전 세계 조립식 모듈러 데이터센터 시장에서 31%의 점유율을 차지하며 시장을 선도하고 있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컴패션_PC
댓글0
0 / 300

댓글을 삭제 하시겠습니까?

닫기

로그인 후 댓글작성이 가능합니다.
로그인 하시겠습니까?

닫기

이미 참여하셨습니다.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