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제사회는 온실가스 감축을 위해 2015년 선진국과 개발도상국이 모두 참여하는 '파리협정'을 채택했다. 파리협정 목표는 산업화 이전과 대비해 지구 평균온도 상승을 1.5도 이내로 억제하는 것이다. 지구 온도가 2도 이상 상승하면 폭염·호우·한파 등 인류가 감당할 수 없는 자연재해가 닥칠 것이라는 분석 때문이다.
이에 따라 유엔 산하 기후변화에 관한 정부 간 협의체(IPCC)는 2018년 '지구온난화 1.5도 특별보고서'를 승인했다. 지구 온도 상승 폭을 1.5도 이내로 억제하기 위해 2050년까지 전 지구 탄소 순배출량이 '0'인 '탄소중립'을 이뤄야 한다는 목표를 제시한 것이다.
우리나라는 2020년 '2050 탄소중립'을 선언하고, 온실가스 감축을 위한 추진 전략을 발표했다. 2030년까지 온실가스 배출량을 2018년 대비 40% 감축하고, 2050년에는 온실가스 국내 순배출량을 0으로 만드는 것을 목표로 하고 있다. 이에 따라 2030년까지 2018년 국가 총배출량인 7억2760만톤(t) 대비 40%인 2억9100만t을 줄여야 한다.
먼저 우리나라 농업 생산 환경을 반영한 국가 고유 온실가스 배출계수 38종을 개발해 활용하고 있으며, 2027년까지 총 60종으로 늘릴 계획이다. 이는 농축산 온실가스 배출·흡수량을 정확히 산정해 효과적으로 감축 목표를 달성하기 위해서다.
온실가스 감축 핵심 수단인 저탄소 농업기술 개발·보급에도 박차를 가하고 있다. 저탄소 농업기술은 생산 과정 전반에 투입되는 비료·농약·농자재·에너지 등을 절감해 온실가스 배출을 줄이는 것이다. 논물 관리와 경운 관리, 바이오차 사용, 직파 재배, 질소질비료 사용 절감 등이 포함된다.
벼 재배 시 담수를 지속해서 하지 않는 논물 관리기술로 최대 63%까지 온실가스 감축 효과를 볼 수 있다. 농경지 토양을 뒤집어 주는 경운 최소화는 관행 농법과 대비해 온실가스 배출량을 23.7% 줄일 수 있다. 바이오차는 농산부산물을 고온에서 산소 없이 열분해해 숯 형태로 만든 물질로, 농경지에 투입하면 토양에 탄소를 격리·저장할 수 있다.
축산 분야에서는 가축분뇨 활용 고체 연료화 기술, 가축 소화 과정에서 발생하는 메탄을 줄이는 사료, 4차 산업혁명 기술 접목 스마트 축사 등 개발·보급을 통해 온실가스를 줄이고 있다.
탄소중립은 산업 전 부문에 구조적 전환을 가져오는 매우 어려운 과제지만 기후 위기 극복을 위해 피할 수 없으며 미래 세대와 지속 가능한 농업을 위해 꼭 가야만 하는 길이다. 이제 목표는 정해졌다. 그 목표를 향해 농업 분야 전 구성원이 역량과 지혜를 모아 함께 실천하는 일만 남았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