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만감류 재배 열공급 시스템 [사진=경상북도]
아열대 과수 만감류 실증 재배는 농림식품기술기획평가원(IPET) 과제 ‘태양열을 활용한 에너지 생산⋅저장⋅관리 및 실증 모델 구축’의 일환으로 진행됐다.
이번 성과는 경북농업기술원이 포항에서 2020년부터 3년 간 한국에너지기술연구원, 세한에너지, 에스앤지에너지, 대전대학교와 공동으로 연구한 끝에 이뤄냈다.
경북은 최남단 제주에 비해 평균 온도(의성 기준)가 4℃ 낮아 난방비도 제주(1만4536L/10a)에 비해 97.4%가 증가하는 등 아열대 과수를 재배하는데 불리한 면이 있다.
이러한 경영 상의 문제점을 해결하고 지역의 풍부한 일조량을 활용한 태양열 계간축열기반 열공급 시스템을 아열대 과수(만감류)의 시설 재배에 적용해 성공적인 결과를 얻어냈다.

실증 시설원예 태양열 계간축열기반 열공급 시스템 구성도 [사진=한국에너지기술연구원]
김종수 경북농업기술원 연구개발국장은 “신재생에너지 태양열을 활용한 시스템을 농업 연구에 접목하고 이에 따르는 작물재배기술개발을 활발히 진행해 기후변화에 대응하고 미래의 먹거리 발굴에 박차를 가하겠다”고 밝혔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