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SK케미칼 기후변화대응 보고서 표지. [사진=SK케미칼]
SK케미칼은 모건스탠리캐피털인터내셔널(MSCI)이 진행한 지난해 ESG(환경·사회·지배구조) 평가에서 'A등급'을 획득했다고 30일 밝혔다. 회사는 2020년 첫 평가 이후 매년 등급이 한 단계씩 상승했다.
MSCI는 개별 회사의 ESG 성과를 지속가능경영보고서 및 홈페이지 등을 통해 직접 수집해 점검하는 등 평가 기준이 매우 까다로워, A 등급에 들어갈 수 있는 기업이 글로벌 상위 13% 안팎인 것으로 알려졌다.
이번 MSCI 보고서에 따르면 SK케미칼이 환경 부문에서 온실가스 배출량 감축을 위한 구체적 넷제로 로드맵 수립·공개한 것과 폐기물 매립 제로(ZWTL) 인증 등 대기·수질·폐기물 관리 개선 활동을 지속한 것이 긍정적인 평가로 이어졌다. 거버넌스 부문에서는 전문성을 가진 사외이사를 확대하는 등 이사회의 독립성을 지속적으로 강화한 노력을 인정받았다.
SK케미칼은 앞으로도 기업가치와 지속 성장 가능성에 큰 영향을 미치는 환경, 사회, 지배구조 등 비재무적 요소를 적극적으로 반영한 경영활동을 펼쳐 나간다는 계획이다.
앞서 SK케미칼은 한국ESG기준원(KCGS)에서 발표한 '2022년 상장기업 ESG 평가 및 등급' 결과에서 최고 등급인 ‘A+’를 획득한 바 있다. A+ 등급은 평가 대상 기업 1033개 중 상위 0.5%에 해당하는 5개 기업만 획득했다.
안재현 SK케미칼 사장은 “지난해에 이어 올해 MSCI 등급 상승까지 친환경 경영을 위한 노력을 글로벌 평가기관에서 인정받았다”면서 “올해에도 ESG 경영을 강화하기 위한 활동을 이어 나가겠다”고 말했다.
MSCI는 개별 회사의 ESG 성과를 지속가능경영보고서 및 홈페이지 등을 통해 직접 수집해 점검하는 등 평가 기준이 매우 까다로워, A 등급에 들어갈 수 있는 기업이 글로벌 상위 13% 안팎인 것으로 알려졌다.
이번 MSCI 보고서에 따르면 SK케미칼이 환경 부문에서 온실가스 배출량 감축을 위한 구체적 넷제로 로드맵 수립·공개한 것과 폐기물 매립 제로(ZWTL) 인증 등 대기·수질·폐기물 관리 개선 활동을 지속한 것이 긍정적인 평가로 이어졌다. 거버넌스 부문에서는 전문성을 가진 사외이사를 확대하는 등 이사회의 독립성을 지속적으로 강화한 노력을 인정받았다.
SK케미칼은 앞으로도 기업가치와 지속 성장 가능성에 큰 영향을 미치는 환경, 사회, 지배구조 등 비재무적 요소를 적극적으로 반영한 경영활동을 펼쳐 나간다는 계획이다.
안재현 SK케미칼 사장은 “지난해에 이어 올해 MSCI 등급 상승까지 친환경 경영을 위한 노력을 글로벌 평가기관에서 인정받았다”면서 “올해에도 ESG 경영을 강화하기 위한 활동을 이어 나가겠다”고 말했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