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75주년 제주4·3희생자 추념일인 3일 오전 제주시 봉개동 제주4·3평화공원 내 행방불명인 표석을 찾은 유족들이 참배하고 있다. [사진=연합뉴스]
'제주 4·3사건'이 75주년을 맞은 가운데 국민의힘 지도부는 3일 민생 현안 등을 이유로 추념식에 불참했다. 반면 이재명 더불어민주당 대표를 비롯한 민주당 지도부는 제주를 찾아 윤석열 대통령과 정부·여당이 집권 후 첫 제주 4·3 추념식에 불참했다며 여권을 향한 비판 수위를 높였다.
게다가 국민의힘 지도부 내에서 이승만 전 대통령에 대한 재평가가 시급하다는 주장이 나와 집권 여당이 이승만 정부 시절 발생한 민간인 집단 학살 사건인 4·3사건에 대해 망언을 쏟아냈다는 비판이 야권에서 이어졌다.
김기현 국민의힘 대표는 지도부 일부만 추념식에 참석한 것을 두고 "당 지도부가 역할을 나눠서 각자 일을 하고 있는 것"이라고 했다. 이철규 사무총장, 박대출 정책위 의장, 김병민 최고위원 등만 추념식에 참석했다.
다만 김 대표 발언과는 달리 여권에서도 당 지도부가 추념식에 불참한 것을 비판하는 목소리가 나오면서 정부와 여당이 사실상 제주 4·3 추념식에 무늬만 참석한 것 아니냐는 지적이 나온다.
이준석 전 대표는 이날 제주를 찾아 당 지도부 불참에 대해 "하지 않은 것에 대한 이유를 붙이는 것이 참 궁색해 보인다"고 비판했다. 태영호 최고위원을 겨냥해서는 "다른 사람 상처에 소금을 뿌려 정치를 하겠다는 사람들을 절대 이해하지 못한다"고 직격했다.
태 최고위원은 이날 전당대회 경선 과정에서 '4·3은 김일성 일가의 지시'라고 주장해 4·3 유가족 등이 항의한 것을 두고 "어떤 점에서 사과를 해야 하는지 납득이 되지 않는다"고 했다. '제주도민들에게 사과할 의향이 없나'라는 질문에 대해 "4·3사건에 대한 용어부터 동의할 수 없다"고 반박했다.
◆제주 찾아 정부·여당 비판 수위 높인 野
야권은 제주 4·3 추념식에 불참한 정부·여당을 향해 십자포화를 퍼부었다.
이재명 민주당 대표는 제주 4·3 평화공원 평화기념관에서 현장 최고위원회의를 주재하고 윤석열 정부를 겨냥해 "극우적인 행태로 4·3 정신을 모독하고 있다"며 "4·3은 김일성 지시로 촉발됐다는 망언을 한 여당 지도부는 아직 사과 한마디 하지 않는다"고 비판했다.
아울러 "4·3 해결이라는 대통령 약속도 부도났다"며 "정권의 퇴행적 모습 때문에 4·3을 부정하는 극우 세력들까지 활개를 친다"고 목소리를 높였다.
박홍근 민주당 원내대표도 "제주 4·3사건은 제주만의 상처가 아닌 우리 역사의 비극"이라며 "윤 정부 출범 후 첫 번째 추념식인 오늘 정작 대통령은 물론이고 여당 대표 주요 지도부 역시 보이지 않는다"고 지적했다.
그러면서 "아마도 내년엔 총선을 목전에 두고 표를 의식해 얼굴을 비칠 것"이라며 "이것이 제주 4·3을 대하는 현 정권의 민낯"이라고 꼬집었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