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사진= 아주경제DB]
금융감독원은 국내은행의 자금세탁방지 수준을 높이고 글로벌 공조를 강화할 수 있는 국제회의 개최를 추진했다고 4일 밝혔다.
금융감독원은 5일 개최한 미국 국무부(국제안보국) 주관 '미국 금융제재 심포지엄'에 20개 국내 은행 등과 함께 참석했다고 밝혔다. 심포지엄은 미국 금융제재에 대한 우방국의 협력 유도와 실효성 제고를 위한 미 국무부의 글로벌 프로젝트로서 EU, 아시아, 아프리카 등에서 개최되고 있다.
금융제재는 외교정책과 국가안보 목표에 따라 제재대상을 지정해 제재대상 개인‧기업‧국가 등에 자금이 유입되지 않도록 하는 금융거래 제한조치다.
감독당국은 국내 은행의 국제 금융제재에 대한 이해를 높이는 한편, 미 정부와의 상호협력을 강화하기 위해 같은 심포지엄의 한국 개최를 지원했다. 이 자리에서는 무디스 애널리틱스 전문가의 강연을 통해 미 금융제재제도를 개관하면서 국내 금융기관이 자금세탁 리스크를 효과적으로 관리할 수 있는 방안이 논의됐다. 심포지엄 이후 미 국무부는 일대일 면담을 통해 개별 은행들이 실무사례 등에 대한 견해를 청취하고, 궁금증을 해소하는 기회도 제공했다.
금감원은 오는 6일 미 국무부와의 면담에서 미국 금융제재 정책방향과 한국 금융감독 시사점 등에 대해 논의할 계획이다.
김병칠 금감원 전략감독부문 부원장보는 "국내 금융회사의 해외거래가 확대되고 있는 시점에서 자금세탁의 유형은 고도화·다변화되고, 자금세탁방지 국제 기준은 점차 강화되는 추세"라면서 "국내 금융회사는 국제적 자금세탁방지 수준에 맞게 내부통제시스템을 지속적으로 보완하는 등 자금세탁 방지 역량 강화를 위해 더욱 노력해달라"고 당부했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