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전주시청 전경[사진=전주시]
시는 2023년 산업통상자원부가 주관한 ‘스마트 특성화 기반구축사업’ 공모에서 전북도·군산시와 함께 제안한 ‘슈퍼커패시터(Super Capacitor) 융합 특수목적 모빌리티 고도화 플랫폼 구축사업’이 최종 선정됐다고 16일 밝혔다.
이 사업은 고출력을 요구하는 상용차와 특장차, 건설기계 등 특수목적 모빌리티의 전동화에 적합한 슈퍼커패시터의 개발 여건을 만들고, 이차전지 또는 연료전지를 융합한 전동추진체 개발 및 기업지원 등에 필요한 플랫폼을 구축하기 위해 추진되는 것이다.
이번 사업 선정에 따라 전주시는 전북도, 군산시와 함께 2025년까지 총 89억원을 투입해 한국전자기술연구원, 캠틱종합기술원 등 4개 기관과 공동으로 △고출력 융합 전동추진체 개발 및 시험평가 장비구축 △제품개발 및 사업화 등 기술 지원 △인력양성 등을 진행한다.
무엇보다 슈퍼커패시터는 수명이 길고 고속 충방전이 가능하며 저온에서도 우수한 성능을 유지할 수 있는 점에서 향후 큰 성장이 기대된다.
시는 이 사업을 통해 전북도의 상용차, 특장차, 건설기계 산업과 연계한 슈퍼커패시터와 이차전지, 수소연료전지 등 친환경 에너지 산업을 신성장 산업으로 육성할 계획이다.
또한 이차전지와 수소연료전지, 슈퍼커패시터의 경우 각각 탄소섬유와 활성탄소, 인조흑연 등 핵심소재로 탄소소재가 적용되는 만큼, 지역 탄소산업 인프라와 연계를 통해 향후 관련 기업 유치에도 큰 도움이 될 것으로 전망하고 있다.
카드형 전주사랑상품권, 택시결제 서비스 도입

[사진=전주시]
이번 택시요금 결제는 상품권 운영대행사와 택시결제업체 간의 결제시스템 연동으로 성사됐다.
택시 이용객은 상품권 충전금으로 택시 요금 결제가 가능하고, 물품 구매 시와 동일하게 결제금액의 10% 캐시백을 지급받는다.
이용 가능 택시는 개인택시 2300여대와 법인택시 1400여대 등 전주시 관내에서 운행하는 모든 택시다.
타 시·군 택시 및 카카오택시 등 온라인 플랫폼을 활용한 택시에선 이용할 수 없다.
시는 기존에 결제가 되지 않았던 택시에서 전주사랑상품권의 결제가 가능해짐에 따라 상품권 편의성이 극대화될 것으로 전망하고 있다.
한편, ‘전주사랑상품권’은 선불 충전식 카드형 상품권으로 모바일 앱 또는 전주시 내 전북은행 지점에서 신청·발급 받아 사용할 수 있다.
미인가 대안학교 재학 청소년에 무상 급식 지원
전주시와 전주시학교밖청소년지원센터(센터장 정혜선)는 미인가 대안학교 5개교에 재학 중인 청소년 148명에게 무상급식을 지원한다고 16일 밝혔다.시는 이 사업을 통해 정규교육을 받는 청소년과 미인가 대안학교에 재학 중인 학교 밖 청소년들의 복지 간격을 줄이고, 청소년의 결식예방 및 영양개선으로 건강한 성장과 발달을 유도할 것으로 기대했다.
전주시학교밖청소년지원센터는 전주시와 미인가 대안학교 간 긴밀한 협조 체계를 구축하고, 효율적 사업 수행을 위해 힘쓸 예정이다.
전주시학교밖청소년지원센터는 학교 밖 청소년들을 대상으로 심리, 교육, 자립, 복지, 문화활동 등 다양한 프로그램을 진행하고 있다.
또한 학교 밖 청소년 전문기관으로서 학교 밖 청소년의 일상적 고민부터 학업복귀, 사회진입 등 건강한 사회구성원으로의 성장을 지원하는 서비스도 함께 제공하고 있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