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정진석 국민의힘 비상대책위원장이 서울 여의도 국회 의원회관에서 열린 '강제징용 해법 논의를 위한 공개토론회'에서 인사말을 하고 있다.[사진=유대길 기자 dbeorlf123@ajunews.com]
서울중앙지법 형사5단독(박병곤 판사)는 22일 사자명예훼손, 정보통신이용촉진 및 정보보호에 관한 법률 위반(명예훼손) 혐의로 기소된 정 의원의 2차 공판을 열었다.
정 의원은 지난 2017년 9월 자신의 SNS에 노 전 대통령의 극단적 선택을 두고 “(노 전 대통령 부인) 권양숙 여사와 아들이 박연차씨로부터 수백만 달러의 금품 뇌물을 받은 혐의로 검찰 조사를 받은 뒤 부부싸움 끝에 권 여사는 가출하고, 그날 밤 혼자 남은 노 전 대통령이 스스로 목숨을 끊은 사건”이라고 표현한 글을 올렸다.
이 글이 논란이 되자 정 의원은 "돌아가신 노 전 대통령이나 가족들의 마음에 상처를 주기 위한 것이 아니다"라고 해명했다. 그러면서 "노 전 대통령의 비극적 결심이 이명박 전 대통령의 정치보복 때문이었다는 고(故) 박원순 전 서울시장의 주장을 반박하기 위해서 올린 글일 뿐"이라고 덧붙였다.
그러나 법원은 정식 공판 절차에 따라 심리가 필요하다고 판단해 지난해 11월 정식재판에 회부했다.
검찰은 이날 마지막 변론기일에서 "사건 당시 큰 논란이 됐고, 유족에게 지금도 용서받지 못한 것은 문제"라며 "정치적 공방과 관련해 사회관계망(SNS)에 글이 게시됐고, 국민들도 허위라고 인식한 점 등을 종합했다. 벌금 500만원을 내려달라"고 구형했다.
정 의원은 "제가 올린 SNS 글에 적절하지 않고 정제되지 않은 표현이 있던 것은 꼼꼼하게 보지 못한 제 불찰"이라며 "여과 없이 적시한 게 경솔한 행동이다. 고(故) 박원순 전 서울시장과의 정치공방으로 전직 대통령과 유족들에게 (상처를 줘) 죄송스럽다"고 말했다.
이어 정 의원 측은 "정치적 합의가 안 된 것은 맞지만 게시글 게재 이후 미안함과 사죄 표현을 지속해 왔다"며 "피고인과 고인과의 관계를 볼 때 고인을 폄훼할 의도가 있었던 것도 아니다"고 최후 변론했다. 정 의원의 선고공판은 오는 8월10일 열린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