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국 인공지능(AI) 스타트업 딥시크가 개발한 AI 모델을 둘러싸고 데이터 유출 가능성이 제기되면서 일부 국가와 기업이 이용을 제한한 가운데 일본 정부도 공무원에게 이용을 삼가도록 할 방침이라고 밝혔다.
공영방송 NHK는 2일, 다이라 마사아키 디지털상이 전날 오키나와현 나고시에서 열린 한 강연에서 딥시크 AI와 관련해 “개인정보가 제대로 보호되는지가 문제”라면서 “이용자의 개인정보를 보호한다는 관점에서 필요하면 개인정보보호위원회가 대응해야 한다”고 지적했다.
이어 그는 “데이터 보호라는 관점에서 우려가 해소될 때까지 공무원이 사용하는 것을 자제하거나, 사용한다면 유의해야 할 것”이라는 의견을 피력했다. 또한 “이번 생성AI(딥시크)에 어떻게 대처할 것인지, 할 수 있는 일을 하고 싶다”며 각 부처에 대해 내각사이버시큐리티센터(NISC)를 통해 주의 환기를 할 방침이라고 밝혔다.
앞서 지난달 31일 일본 중의원(하원)에서도 집권 자민당의 주요 간부인 오노데라 이쓰노리 정무조사회장이 딥시크의 위험성을 지적하며 이용해서는 안 된다고 주장했다.
아사히신문에 따르면 오노데라 정조회장은 이날 하원 예산위원회에서 미국 오픈AI의 챗GPT와 딥시크 AI 모델을 비교한 결과를 설명하면서 이같이 밝혔다.
오노데라 정조회장은 두 회사의 AI에 ‘센카쿠열도는 일본 땅인가’라고 질문하면 전혀 다른 답변이 나온다고 소개했다. 그는 딥시크 AI의 경우 “‘역사적으로, 국제법상으로 중국 고유의 영토’라고 하는, 사실과 다른 답을 했다”고 지적했다. 반면 챗GPT는 “국제법상 일본 영유권이 확립됐고 일본이 실효 지배를 지속하고 있으므로 일본 영토라고 할 수 있다”고 답했다고 설명했다.
센카쿠열도는 일본과 중국이 영유권 분쟁을 벌이는 곳으로 일본이 실효 지배하고 있지만 중국은 영유권을 주장하며 분쟁화하고 있다. 중국은 이곳을 ‘댜오위다오’로 부르며 해경선 등을 주변 해역에 보내고 있다.
오노데라 정조회장은 “당연한 것을 왜곡해 버리는 것이 딥시크”라면서 “위험하기 때문에 딥시크를 다운로드하는 것은 중지하기를 바란다”고 요구했다. 그는 또 일본이 AI 분야에서 독자적인 기술을 개발해야 한다고 덧붙였다.
이에 하원 예산위에 출석한 이시바 시게루 총리는 “신뢰할 수 있는 AI를 개발하고 이용할 필요가 있다”고 말했다.
딥시크에 대해서는 현재 개인 데이터 수집 등에 관한 정보 공개가 불충분하다는 이유로 미국 및 유럽을 중심으로 경계감이 확산되고 있다. 미국 의회와 국방부는 직원들에게 접속을 금지했으며 이탈리아도 사용을 차단하고 있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