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원식 국회의장오른쪽이 지난 3일 국회를 예방한 김영록 전라남도지사와 대화하고 있다 사진연합뉴스](https://image.ajunews.com/content/image/2025/02/10/20250210154848777690.jpg)
10일 정치권에 따르면 더불어민주당 소속 김영록 전남지사는 지난 5일 신년 기자 간담회에서 "대한민국을 재창조하고 대통합을 이루기 위해 대선 출마를 결심했다"며 "당내 경선에서 특정 후보와의 연대나 경쟁 후보를 공격하는 네거티브는 절대 하지 않고 정책 대결로 끝까지 완주해 민주당의 파이를 키우는 데 일조하겠다"고 선언했다.
국민의힘 소속 유정복 인천시장은 지난 3일 "현재 대통령이 존재하는 상황에서 공식적으로 조기 대선부터 이야기하는 것 자체가 맞지 않다"면서도 "나라를 바르게 세우기 위해 어떤 역할을 할 수 있는지 고민하고 있다"고 언급했다. 이철우 경북도지사와 김태흠 충남지사도 출마 가능성이 높은 지자체장으로 꼽힌다.
만약 헌법재판소가 윤 대통령 탄핵을 인용한다면 헌법에 따라 60일 안에 보궐선거를 치러야 한다. 현행 공직선거법상 공무원이 대선에 출마하기 위해선 선거일 90일 전까지 그만둬야 하는데, 보궐선거의 경우 30일 전에만 사퇴하면 된다.
한 정치권 관계자는 "서울시장과 경기지사 정도가 아니면 변방의 지자체장들이 중앙 여의도 정치권의 관심을 받는 것은 쉽지 않다"면서 "그러나 대선 출마를 선언하면 자신의 정치 비전과 목소리를 유권자들에게 들려주기가 상대적으로 용이해진다"고 설명했다.
실제 경선 레이스를 완주하지 않더라도 대선 출마 자체로 자신의 정치적 체급을 '대선주자급'으로 올릴 수 있기에 2026년 지방선거 출마나 2028년 총선을 통한 국회 복귀에 도움이 된다는 분석이다. 대선 출마를 이유로 자신의 지역에서 선거운동을 진행할 수도 있다.
과거 김두관 전 경남지사의 경우 2012년 12월 제18대 대선 출마를 위해 같은 해 7월에 도지사직을 중도 사퇴한 바 있다. 일종의 '배수의진'을 펼쳤던 것이지만, 지역에서 '무책임하다'는 역풍이 불었고 민주당 선거구도에도 악영향을 미쳤다. 이에 이번에 조기 대선이 열리더라도 여야 지자체장들은 현직을 유지한 채 경선에 참여할 가능성이 높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