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여야정 국정협의회 첫 회의가 20일 오후 국회 사랑재에서 열려 참석자들이 기념사진을 찍고 있다. 왼쪽부터 이재명 더불어민주당 대표, 최상목 대통령 권한대행 부총리 겸 기획재정부 장관, 우원식 국회의장, 권영세 국민의힘 비대위원장. [사진=연합뉴스]
12·3 비상계엄 이후 민생 현안을 논의하는 여야정 국정협의회 첫 회의가 20일 열렸다. 하지만 반도체특별법과 연금개혁, 추가경정예산안(추경) 편성 등에 대해 여야는 이견을 드러냈다.
우원식 국회의장은 이날 회의를 주재하면서 "오늘 적어도 추경 편성에 합의했으면 좋겠다"고 말했다.
최상목 대통령 권한대행은 "반도체특별법 근로시간 특례(주52시간 예외 조항)는 꼭 필요하다"고 했다. 최 권한대행은 추경 필요성을 인정하면서 민생법안 처리가 우선이라는 점도 강조했다. 그는 "재정 투입 논의도 필요하겠지만 민생회복 지원 법안을 처리해달라"고 요청했다.
추경에 대해 권영세 국민의힘 비상대책위원장은 야당 주도로 예산 편성이 진행된 것에 불만을 나타냈다. 그는 "예산편성 권한은 헌법상 정부에 있는데 국회가 일방적으로 강행 처리한 건 잘못됐다"고 지적했다.
이재명 더불어민주당 대표는 "국민이 더 이상 고통받지 않도록 최소한의 삶의 조건을 만들어야 하고 추경이 우리가 할 수 있는 중요한 수단"이라며 "가능한 합의는 이끌어냈으면 좋겠다"고 했다.
이 대표는 반도체특별법과 관련해선 "근로시간 특례 패키지는 아니지 않으냐"고 했다. 그러면서 "대체로 (여야가) 합의되는 연금 문제와 반도체특별법 등은 신속하게 논의해야 한다"고 덧붙였다.
우원식 국회의장은 이날 회의를 주재하면서 "오늘 적어도 추경 편성에 합의했으면 좋겠다"고 말했다.
최상목 대통령 권한대행은 "반도체특별법 근로시간 특례(주52시간 예외 조항)는 꼭 필요하다"고 했다. 최 권한대행은 추경 필요성을 인정하면서 민생법안 처리가 우선이라는 점도 강조했다. 그는 "재정 투입 논의도 필요하겠지만 민생회복 지원 법안을 처리해달라"고 요청했다.
추경에 대해 권영세 국민의힘 비상대책위원장은 야당 주도로 예산 편성이 진행된 것에 불만을 나타냈다. 그는 "예산편성 권한은 헌법상 정부에 있는데 국회가 일방적으로 강행 처리한 건 잘못됐다"고 지적했다.
이재명 더불어민주당 대표는 "국민이 더 이상 고통받지 않도록 최소한의 삶의 조건을 만들어야 하고 추경이 우리가 할 수 있는 중요한 수단"이라며 "가능한 합의는 이끌어냈으면 좋겠다"고 했다.
이 대표는 반도체특별법과 관련해선 "근로시간 특례 패키지는 아니지 않으냐"고 했다. 그러면서 "대체로 (여야가) 합의되는 연금 문제와 반도체특별법 등은 신속하게 논의해야 한다"고 덧붙였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