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24일 한국경제인협회가 시장조사 전문기관인 모노리서치에 의뢰해 자영업자 500명을 대상으로 실시한 설문조사에 따르면, 2024년 자영업자들의 매출은 전년 대비 12.8%, 순이익은 13.3% 감소한 것으로 나타났다. 올해도 감소세가 이어져 지난해 대비 매출은 6.5%, 순이익은 7.2% 줄어들 전망이다.
설문에서 자영업자 10명 중 7명인 72.6%는 2024년 매출이 2023년보다 감소했다고 응답했고, 순이익 역시 72.0%가 줄었다고 밝혔다. 설문에 응한 자영업자 중 과반은 올해도 이러한 사업 실적 악화가 이어질 것으로 전망했다.
또 2025년 매출 전망이 2024년에 비해 줄어들 것이라는 응답이 61.2%로 나타났으며, 2025년 순이익 전망도 응답자의 62.2%가 감소할 것이라고 짚었다. 이들이 예상한 올해 매출과 순이익 감소폭을 평균을 내니 각각 6.5%, 7.2%로 조사됐다.
이러다 보니 설문에 응한 자영업자 10명 중 4명 이상(43.6%)은 향후 3년 내 폐업을 고려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들이 폐업을 고려하는 주요 이유로는 △영업실적 지속 악화(28.2%) △경기회복 전망 불투명(18.1%) △자금사정 악화·대출상환 부담(18.1%) △임차료·인건비 등 상승(11.9%) △원재료 가격 상승(11.9%) 등이 꼽혔다.
올해 예상되는 경영 애로사항으로는 △경기침체에 따른 소비심리 위축(34.9%) △원부재료 매입비 부담(24.0%) △임차료·세금·수수료 부담(12.3%) △대출상환·금리 부담(11.6%) △최저임금 등 인건비 부담(9.1%) 등이 거론됐다.
자영업자들은 각종 정부 지원도 요청했다. 이들은 △대출상환 유예 등 금융지원 확대(22.1%) △소비 촉진 방안 확대(20.9%) △원부자재 가격 등 물가 안정화(14.0%) △임대료 지원 강화(11.7%) △공공요금 인상 억제 또는 인하(10.5%) 등이 필요하다고 응답했다.
이상호 한경협 경제산업본부장은 "우리 경제의 저성장 구조로 가계의 소비 펀더멘털이 악화되고 내수가 얼어붙어 수많은 자영업자들의 시름이 깊어지고 있다"며 "자영업자들의 어려움이 지속될 경우 서민경제의 위기가 심화될 수 있으므로 금융 지원을 강화하고, 원부자재 가격 안정과 소비 촉진 방안을 강화해 소상공인들의 숨통을 틔워 줘야 한다"고 주장했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