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사진=아주경제DB]
‘이변 없었다’…李, 89.77% 득표로 민주당 대선 후보 선출
더불어민주당이 27일 마지막 순회 경선을 열고 이재명 후보를 제21대 대통령 민주당 대선 후보로 최종 선출했다. 이 후보는 지난 19일부터 진행된 4차례 순회경선에서 모두 88% 이상의 득표율을 기록하며 ‘어대명’(어차피 대통령은 이재명) 기류를 흔들림 없이 이어갔다.민주당 선거관리위원회는 이날 오후 경기 고양시 킨텍스에서 대선 후보자 선출을 위한 수도권·강원·제주 합동연설회를 열고 전국대의원·권리당원·재외국민선거인단(50%)과 국민여론조사(50%)를 합산한 최종 결과를 발표했다.
투표 결과 이 후보는 89.77%를 얻으며 1위에 올랐다. 이는 1987년 민주화 이후 민주당 계열 정당의 대선 후보 경선에서 역대 최고 득표율에 해당하는 수치다. 이어 김동연 후보가 6.87%, 김경수 후보가 3.36%로 각각 2·3위를 차지했다.
컷오프 앞둔 국힘 ‘빅4’, 지역 찾아 ‘反明’ 한목소리
국민의힘 대선 후보 선출 전 마지막 주말인 27일 김문수·안철수·한동훈·홍준표 등 이른바 ‘빅(Big) 4’ 후보들이 지역 일정을 소화하며 막판 표심 공략에 주력했다.전날까지 TV토론회에서 날 선 공방을 맞받았던 후보들은 상호 공격을 자제한 채 ‘반(反)이재명’ 기조를 앞세워 더불어민주당에 총공세를 가했다. 경선 레이스가 종반으로 접어든 상황에서도 ‘네거티브’에 갇힌 형국이 지속되자 국민의힘 내부에선 “낡은 전략”이라는 자조 섞인 반응이 나왔다.
2차 경선 투표 첫날인 이날 4명의 국민의힘 후보는 각 지역을 찾아 당원들의 지지를 호소했다. 각 후보가 향한 지역은 달랐지만, 이재명 민주당 대선 후보를 겨냥한 비판 전략은 동일했다. 경선 과정에서 벌어진 주자 간 신경전을 뒤로 하고, 당심 결집을 통해 본선 승리를 이뤄야 한다는 공감대가 맞아떨어진 것으로 해석된다.
SKT, 현재 유심 100만 개 보유…“해킹 피해 발생 시 100% 책임질 것”
SKT는 27일 100만개의 유심(USIM)을 보유하고 있으며, 오는 5월 말까지 500만개 유심을 추가 확보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아울러 유심보호서비스 가입자에 대해서는 유심 해킹 피해가 발생할 경우 100% 책임지겠다는 입장을 내놨다.이날 SKT는 과학기술정보통신부(과기정통부)와 최근 발생한 유심 해킹 사고와 관련해 피해 방지 대책을 협의 후 ‘유심보호서비스로 해킹 피해를 막겠다, 피해가 발생하면 SKT가 100% 책임지겠다’는 내용의 입장문을 발표했다.
회사에 따르면 현재 SKT는 약 100만 개의 유심을 보유하고 있는 상황이다. 5월 말까지 약 500만 개 유심을 추가로 확보하고 고객 수요에 따라 계속 유심을 마련할 계획이다.
‘관세 충격’ 지원하지만…은행권, 中企 연체에 ‘건전성’ 부담
미국의 관세 부과 정책에 국내 기업이 경영상 어려워질 조짐을 보이자 국내 은행권도 기업 지원을 위해 팔을 걷어붙이고 나섰다. 하지만 금융 지원과 동시에 악화하는 건전성을 관리해야 하는 은행의 딜레마는 점차 커지고 있다. 이미 내수 부진 등으로 기업의 대출 연체율이 높은 수준을 유지하고 있는 탓이다.27일 금융권에 따르면 4대 은행(KB국민·신한·하나·우리)은 이달부터 상호관세 부과로 수출기업과 중소기업, 소상공인 등이 겪는 어려움을 최소화하기 위해 다양한 프로그램을 시행하고 있다. 은행을 포함해 4대 금융지주(KB·신한·하나·우리)가 지원하는 총 자금만 35조원에 달한다.
87조 최대 실적에도 몸 낮추는 현대차그룹 ‘삼형제’
현대자동차, 기아, 현대모비스 등 현대차그룹 ‘삼형제’가 하이브리드차(HEV) 등 고부가치 차량과 현지화 전략, 고환율 효과 등을 앞세워 1분기 통합 매출액이 90조원에 육박하며 사상 최대 기록을 세운 것으로 나타났다. 통상 자동차 업계에서 비수기로 꼽히는 1분기에 올린 쾌거다. 다만 2분기부터는 통상 환경 변화와 실물 경제 침체 가능성 등이 공존하는 만큼 축배 보다는 위기 대응에 주력하며 몸을 낮춘다는 전략이다.27일 금융감독원 전자공시시스템에 따르면 현대차·기아·모비스 등 현대차그룹 3사의 올 1분기 합산 매출액은 87조1773억원으로 집계됐다. 1분기 통합 매출액이 80조원을 돌파해 사상 최대 실적을 달성했던 지난해보다도 무려 8% 증가한 수치다. 같은 기간 영업이익은 7조4189억원을 기록해 지난해 1분기(7조5258억원)보다는 소폭(1.4%) 감소했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