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지난해 우리나라를 방문한 외국인 환자 수가 전년의 2배로 늘며 역대 최다인 117만여명을 기록했다.
보건복지부와 한국보건산업진흥원은 2일 이 같은 내용의 '2024년 외국인 환자 유치 현황'을 공개했다.
작년 202개 국가의 외국인 환자 117만467명이 우리나라를 찾았다. 2023년 60만5768명에 비해 93.2%가량 늘어난 수치로, 2009년 외국인 환자 유치 사업이 시작된 이래 최대 실적이다.
외국인 환자 수는 2019년까지 꾸준히 증가하다가 2020년 코로나 19의 영향으로 급감했지만 이후 회복 단계를 거쳐 지난해 최대 실적을 거둔 것이다.
작년 방문 환자를 국적별로 보면 일본 환자가 44만1112명(37.7%)으로 가장 많았다. 일본은 2023년에도 전체 국가 중 1위를 차지했다.
이어 중국 26만641명(22.3%), 미국 10만1733명(8.7%), 대만 8만3456명(7.1%), 태국 3만8152명(3.3%) 순이었다.
특히 전년 대비 대만 환자가 550.6%, 일본과 중국이 각각 135.0%, 132.4% 증가했으며 주로 피부과 방문 환자가 늘어났다.
전체 환자를 진료과별(중복 포함)로 보면 피부과가 70만5044명(56.6%)으로 가장 많았다. 성형외과 14만1845명(11.4%), 내과통합 12만4085명(10.0%), 검진센터 5만5762명(4.5%), 한방통합 3만3893명(2.7%)이 뒤를 이었다.
복지부는 한국 화장품에 대한 외국인의 높은 호감도, 한국 피부 시술의 가격 경쟁력, 한류 팬 관광 증가 등이 피부과 성황의 원인이라고 분석했다.
의료기관 종별로는 의원급 비중이 82.0%였다. 지역별로 보면 서울을 방문한 외국인 환자가 99만9642명(85.4%)으로 대다수를 차지했다.
정은영 복지부 보건산업정책국장은 "2023년 발표한 외국인 환자 유치 활성화 전략에 힘입어 2027년 유치 목표였던 70만 명을 조기 달성할 수 있었다"며 정부 지원을 꾸준히 확대하겠다고 말했다.
보건복지부와 한국보건산업진흥원은 2일 이 같은 내용의 '2024년 외국인 환자 유치 현황'을 공개했다.
작년 202개 국가의 외국인 환자 117만467명이 우리나라를 찾았다. 2023년 60만5768명에 비해 93.2%가량 늘어난 수치로, 2009년 외국인 환자 유치 사업이 시작된 이래 최대 실적이다.
외국인 환자 수는 2019년까지 꾸준히 증가하다가 2020년 코로나 19의 영향으로 급감했지만 이후 회복 단계를 거쳐 지난해 최대 실적을 거둔 것이다.
이어 중국 26만641명(22.3%), 미국 10만1733명(8.7%), 대만 8만3456명(7.1%), 태국 3만8152명(3.3%) 순이었다.
특히 전년 대비 대만 환자가 550.6%, 일본과 중국이 각각 135.0%, 132.4% 증가했으며 주로 피부과 방문 환자가 늘어났다.
전체 환자를 진료과별(중복 포함)로 보면 피부과가 70만5044명(56.6%)으로 가장 많았다. 성형외과 14만1845명(11.4%), 내과통합 12만4085명(10.0%), 검진센터 5만5762명(4.5%), 한방통합 3만3893명(2.7%)이 뒤를 이었다.
복지부는 한국 화장품에 대한 외국인의 높은 호감도, 한국 피부 시술의 가격 경쟁력, 한류 팬 관광 증가 등이 피부과 성황의 원인이라고 분석했다.
의료기관 종별로는 의원급 비중이 82.0%였다. 지역별로 보면 서울을 방문한 외국인 환자가 99만9642명(85.4%)으로 대다수를 차지했다.
정은영 복지부 보건산업정책국장은 "2023년 발표한 외국인 환자 유치 활성화 전략에 힘입어 2027년 유치 목표였던 70만 명을 조기 달성할 수 있었다"며 정부 지원을 꾸준히 확대하겠다고 말했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