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최 부총리는 3일 오전 전국은행연합회관에서 이창용 한국은행 총재, 김병환 금융위원회 위원장, 이복현 금융감독원 원장 등과 관계기관 합동 거시경제금융현안간담회의(F4 회의)를 열고 이같이 말했다. 이날 F4 회의에서는 미국 상호관세 발표에 따른 국제금융시장 동향을 점검하고 대응 방향을 논의했다.
앞서 이날 오전 5시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은 이날 한국 등 대미 주요 수출국을 대상으로 10∼49%의 상호관세를 부과하겠다고 발표했다.
한국의 상호관세율은 25%로 △베트남(46%) △중국(34%) △대만(32%) △인도(26%)보다는 낮지만, △일본·말레이시아(24%) △유럽연합(20%) △영국(10%)보다는 높다.
이어 "우리 경제에 미치는 피해가 최소화되도록 대(對)미 협상의 범정부적 노력을 집중하고 경제안보전략 TF(태스크포스)를 통해 민관이 함께 최선의 대응 전략을 마련하겠다"며 "산업경쟁력강화 관계장관회의를 통해 자동차 등 피해 예상 업종별 지원, 조선 선수금지급보증(RG) 공급 확대, 상호 관세 대응을 위한 세부 지원 방안을 순차적으로 발표하겠다"고 말했다.
추가경정예산(추경)에 대한 언급도 있었다. 그는 "정부가 제안한 10조원 규모의 필수 추경에도 무역금융 수출 바우처 추가 공급, 핵심 품목 공급망 안정, 통상 리스크 대응 사업을 적극 반영하겠다"며 "우리 기업들이 전례없는 통상 파고를 헤쳐나갈 수 있도록 국회에서 신속히 논의해 주시기를 간곡히 요청한다"고 강조했다.
그러면서 "글로벌 통상환경 변화를 계기로 우리 경제 산업의 체질 개선 노력도 병행하겠다"며 "신시장 개척을 통해 수출 시장을 다변화하고 가격이 아닌 기술을 기반으로 한 근본적 산업 경쟁력을 제고하며 국내 일자리를 지키는 정책적 노력도 더욱 강화하겠다"고 부연했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