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P500, 2차대전 후 4번째 큰 폭락"…서머스 전 美재무 경고

기자정보, 기사등록일
이은별 기자
입력 2025-04-07 17:47
    도구모음
  • 글자크기 설정
  • S&P 500, 3~4일 총 10.5% 급락

뉴욕증권거래소 사진AFP연합뉴스
뉴욕증권거래소 [사진=AFP·연합뉴스]

미국 빌 클린턴 행정부에서 재무장관을 지낸 로런스 서머스 하버드대 교수가 도널드 트럼프 행정부의 관세정책을 강하게 비판했다.
 
서머스 전 장관은 6일(현지시간) 자신의 엑스(옛 트위터)에 “역사상 미국 경제에 가한 가장 큰 자해”라면서 “(정책이) 전환될 때까지 우리는 심각한 문제를 겪게 될 것”이라고 경고했다.
 
그는 특히 트럼프 전 대통령의 상호관세 발표 이후 3~4일 이틀 동안 미국 대표 주가지수인 스탠더드앤드푸어스(S&P)500이 총 10.5% 급락한 점에 주목했다. 이는 제2차 세계대전 이후 4번째 큰 하락 폭이다.
 
서머스 전 장관은 이번 급락이 1987년 10월 ‘블랙 먼데이’(-26.4%), 2020년 3월 코로나19 팬데믹(-13.9%), 2008년 11월 금융위기(-12.4%)에 이어 가장 높은 수준이라고 강조했다. 이에 “3~4일 급변처럼 시장은 앞으로도 더 많은 변동을 겪을 가능성이 매우 크다”면서 “이러한 낙폭은 향후 어려움을 시사하며, 사람들이 매우 신중해야 한다”고 경고했다.
 
앞서 트럼프 대통령은 지난 3일 상호관세를 발표하며 5일부터 전 세계 수입품에 10%의 관세를 부과하고, 9일부터는 미국과의 무역 흑자가 큰 국가에 대해 더 높은 국가별 상호관세율을 적용한다고 발표했다. 이에 중국이 4일 미국산 전 수입품에 대해 34% 보복 관세를 예고하면서 양국 간 관세 전쟁이 격화되고 있다.
 
서머스 전 장관은 또한 지난 3~4일 S&P500 시가총액이 5조3800억 달러(약 7860조원)가량 증발한 것과 관련해 “시장에서는 기업 가치가 관세 전보다 5조 달러 적을 것으로 본다”면서 “소비자 손실까지 합치면 30조 달러(약 4경4000조원) 정도가 합리적 (타격) 추정치”라고 주장했다. 이어 “모든 유가가 2배로 뛴 것과 같은 경제 손실에 맞먹는다”면서 “우리는 이런 일을 본 적이 없다”고 비판했다.
 
또 이날 S&P500 선물이 장중 5% 넘게 급락한 데 대해서는 시장의 실망감을 반영한다면서 “2차 대전 이후 미국에서 가장 해로운 경제정책일 가능성이 있는 (관세에) 시장이 반응하고 있다”고 진단했다.
 
이처럼 시장의 불안이 고조되는 가운데, 트럼프 대통령은 6일 “대중국 무역 적자가 해결되지 않으면 협상하지 않겠다”며 예정대로 상호관세를 부과할 뜻을 거듭 밝혔다.
 
아울러 하워드 러트닉 미국 상무장관은 상호관세 부과를 유예할 가능성이 없다고 선을 그었다. 스콧 베선트 미국 재무장관도 “(관세정책에 따라) 경기침체를 우려할 이유가 없다”며 관세정책을 옹호하는 입장을 나타냈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컴패션_PC
0개의 댓글
0 / 300

로그인 후 댓글작성이 가능합니다.
로그인 하시겠습니까?

닫기

댓글을 삭제 하시겠습니까?

닫기

이미 참여하셨습니다.

닫기

이미 신고 접수한 게시물입니다.

닫기
신고사유
0 / 100
닫기

신고접수가 완료되었습니다. 담당자가 확인후 신속히 처리하도록 하겠습니다.

닫기

차단해제 하시겠습니까?

닫기

사용자 차단 시 현재 사용자의 게시물을 보실 수 없습니다.

닫기
실시간 인기
기사 이미지 확대 보기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