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경찰이 오는 6월 3일 제21대 대통령 선거에 출마할 주요 후보자들에 대한 경호 강화 방안을 추진 중이다. 비상계엄 정국과 탄핵을 둘러싼 사회적 긴장 고조 속에, 최근 협박·폭행·방화·분신 등 극단적 위협 행위가 급증한 데 따른 대응 조치다.
14일 아주경제 취재를 종합하면 경찰청은 현재 사회 분위기를 고려해 지난 대선보다 더 많은 경호 인원을 선발하고, 교육 강도도 높일 계획이다. 특히, 실제 위협 대응 능력을 강화하는 데 초점을 맞출 방침이다.
경찰청은 지난 4일부터 9일까지 전국 경찰관을 대상으로 대선 경호팀 지원자를 모집했다. 이후 서류 심사, 체력 검증, 면접 등을 거쳐 17일께 최종 명단을 확정할 예정이다. 2022년 제20대 대선 당시에는 총 150명이 선발됐으나, 이번에는 이보다 많은 인력을 투입하는 방안이 유력하게 검토되고 있다.
합격자는 경찰특공대의 별도 교육 프로그램도 받는다. 경찰 관계자는 “최근 발생한 경호 위협 사례들을 반영한 실전형 교육과 시뮬레이션 훈련을 강화할 계획”이라고 설명했다.
경호팀은 각 정당에서 대통령 후보를 공식 선출하는 시점부터 현장에 투입된다. 그간은 후보 1인당 최대 30명 수준의 인력이 배치됐지만, 이번 선거에서는 그 이상으로 확대될 가능성도 제기된다.
경호팀은 대선 결과가 확정될 때까지 후보자에게 국무총리·국회의장 등에게 적용되는 ‘을호 경호’를 제공한다. 경호 방식은 24시간 밀착 보호를 원칙으로, 주간에는 촉수 거리(팔을 뻗었을 때 닿는 거리)를 유지하고, 야간에는 후보자 자택 인근에서 상시 대기 경호를 실시한다.
경찰 내부에서도 대선 경호는 신체·정신적으로 가장 고강도인 근무 가운데 하나로 꼽힌다. 대선 경호 경험이 있는 한 경찰은 “하루 종일 후보자 옆에서 긴장을 유지해야 해, 체력뿐 아니라 집중력도 요구되는 일”이라며 “피가 마른다는 표현이 실감 날 정도”라고 말했다.
때문에 경호팀 지원자들 중에는 특공대, 공수부대, 무도 특채 출신 등 고강도 훈련 경험자들이 많다. 경찰 관계자는 “선발되더라도 별도 인센티브는 없으며, 자긍심과 사명감으로 임하는 자리”라고 말했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