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도널드 트럼프 미국 행정부가 반(反)이스라엘 시위에 적극적으로 대응하고, 다양성 프로그램을 해체하라는 등의 요구를 위헌적이라는 이유로 거부한 하버드대에 22억 달러(약 3조1000억원) 규모의 보조금을 동결한다고 14일(현지시간) 밝혔다.
미 정부 내 '반유대주의 근절을 위한 합동 태스크포스'는 14일(현지시간) 성명을 내고 하버드대에 수년간에 걸친 보조금 22억 달러와 계약 6000만 달러를 동결한다고 발표했다.
앞서 앨런 가버 하버드대 총장이 이날 교내 커뮤니티에 글을 올려 "어떤 정부도 사립대학이 무엇을 가르칠 수 있는지, 누구를 입학시키고 고용할 수 있는지, 어떤 연구와 탐구 분야를 추구할 수 있는지 지시해서는 안 된다"며 정부의 요구를 거부한 것에 따른 조치다.
가버 총장은 "대학은 독립성을 포기하거나 헌법상 권리를 포기하지 않을 것"이라며 "하버드를 비롯한 어떤 사립대학도 연방 정부의 지배를 허용해선 안 된다"고 강조했다.
이에 태스크포스는 "하버드대의 오늘 성명은 우리나라의 최고 명문 대학에 만연한 문제적인 권리 의식, 즉 연방 정부 투자에는 시민권법을 준수할 책임이 따르지 않는다는 생각을 강화하는 것"이라고 주장했다.
그러면서 최근 대학 캠퍼스에서 벌어진 학습 차질, 유대인 학생들에 대한 괴롭힘은 용납할 수 없다며 명문대학이 납세자의 지원을 받으려면 의미 있는 변화를 위해 노력해야 한다고 촉구했다.
트럼프 행정부는 반유대주의 확산 방치 등을 이유로 지난달 말 하버드대에 90억 달러(약 13조원) 규모의 연방계약과 보조금을 재검토하겠다고 밝혔고 지난 11일에는 서한을 보내 대학 운영 방식, 학생 선발 및 교수 채용에 대한 광범위한 개입을 요구했다. 여기에는 다양성·평등·포용(DEI) 프로그램 폐지, 입학 규정 변경, 이념적 견해를 이유로 특정 학생, 교수진 '세력' 채용 및 억제 등이 포함됐다.
하버드대는 앞서 반유대주의를 막기 위해 시위 주도 학생 징계, 일부 교수진 해임 등 조치를 실행했지만, 트럼프 정부의 새 요구는 받아들이지 않겠다는 뜻을 분명히 했다. 가버 총장은 "이는 반유대주의를 협력적이고 건설적인 방식으로 해결하기 위해 우리와 협력하고자 하는 의도가 아님을 분명히 보여준다"며 "정부가 제시한 요구 사항 중 일부는 반유대주의 근절을 목표로 하지만 대부분은 하버드의 '지적 환경'에 대한 직접적인 정부 규제를 의미한다"고 비판했다.
한편, 트럼프 행정부는 하버드대를 비롯해 미국 내 60개 대학에 서한을 보내 캠퍼스에서 유대인 학생을 보호하지 못하면 민권법에 따른 조치를 하겠다고 경고한 바 있다. 또한 대학에서 '증오 이념'을 주장하는 외국인 학생의 비자를 취소한다는 행정명령에 따라 집회에 연루됐던 일부 학생들을 체포하기도 했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