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WS "韓 데이터 활용성 뒤쳐져…AI 발전 위해 공공 규제 풀어야"

  • 18일 'AWS 코리아 공공부문 기자간담회' 개최

  • "韓 망분리 제도 개선돼야…CSAP 3등급 완화 충분치 않아"

윤정원 AWS 코리아 공공부문 대표는 18일 서울 강남구 AWS 코리아 오피스에서 열린  AWS 코리아 공공부문 기자간담회에서 발표하고 있다 사진AWS코리아
윤정원 AWS 코리아 공공부문 대표는 18일 서울 강남구 AWS 코리아 오피스에서 열린  'AWS 코리아 공공부문 기자간담회'에서 발표하고 있다. [사진=AWS코리아]

아마존웹서비스(AWS)가 인공지능(AI) 기술 시대에 대응하기 위해 한국 정부가 금융·의료·공공 분야의 유연한 규제 체계를 도입해야 한다고 밝혔다. 기업들이 갖고 있는 기술을 충분히 활용하기 위한 정책적 지원이 필요하다는 것이다. 

윤정원 AWS 코리아 공공부문 대표는 18일 서울 강남구 AWS 코리아 오피스에서 열린  'AWS 코리아 공공부문 기자간담회'에서 "많은 선진국들은 데이터를 수집·정제·분류하는 데이터 트랜스포메이션 과정을 충분히 거쳤으나, 한국은 미흡한 측면이 있다"면서 "한국은 이제 데이터와 AI 트랜스포메이션을 동시에 추진해야 하는 상황인데, 이를 위해선 노하우를 가진 기업의 기술을 빠르게 활용할 수 있도록 지원해야 한다"고 밝혔다. 

이어 "공공부문의 자체 개발 만으로는 (현재의 기술 발전 흐름을) 따라 갈 수가 없다"면서 "정부 서비스를 개발할 때 과거 적용했던 거대 시스템통합(SI) 기업의 턴키(설계·시공 일괄입찰) 방식이 아닌 우수 솔루션을 빠르게 도입하는 트렌드에 한국도 동참해야 한다"고 말했다. 공공부문 역시 새로운 솔루션을 즉시 도입할 수 있는 클라우드 방식을 전면 도입할 필요가 있다는 얘기다. 

그는 "공공 부문에서도 많은 발전이 있을 것"이라면서 "미국, 영국, 싱가포르 등 해외 사례를 보면 정부 공공 프로젝트에 납부하는 많은 기업들이 AWS을 사용해서 혁신하고 있다"고 덧붙였다. 

AWS는 의료·교육 등 규제가 강한 분야의 국내 혁신 사례를 소개했다. 서울여자대학교는 AWS 클라우드 기반 지능형 데이터 분석 플랫폼을 도입해 대학 데이터를 통합하고 학생 중도이탈 방지를 위한 서비스를 구현했다.

연세의료원도 AWS 기반 디지털 혁신 프로젝트를 추진하고 있다. AWS 인프라를 기반으로 다양한 의료 AI 통합 관리는 물론, 한국어 의료 특화 거대언어모델(LLM) 구축 등 의료에서 AI 활용도를 높일 수 있었다. 
 
왼쪽부터 AWS 코리아의 윤정원 공공부문 대표 업스테지이의 김성훈 대표 제이앤피메디의 정권호 대표 서울대학교병원 김광수 융합의학과 교수 사진박진영 기자
(왼쪽부터) AWS 코리아의 윤정원 공공부문 대표, 업스테지이의 김성훈 대표, 제이앤피메디의 정권호 대표, 서울대학교병원 김광수 융합의학과 교수 [사진=박진영 기자]

이날 대담에선 AWS 인프라를 적극 활용하고 있는 업스테지이의 김성훈 대표, 제이앤피메디의 정권호 대표, 서울대학교병원 김광수 융합의학과 교수가 참여했다. AWS를 기반으로 글로벌 표준에 맞는 보안성과 함께 대용량 LLM 학습도 용이하게 할 수 있었다는 사례를 공유했다.

김 대표는 "업스테이지는 대용량 언어모델 학습을 위해 그래픽처리장치(GPU)를 많이 사용하는데, AWS의 세이지메이커를 통해 유연하게 이 작업을 할 수 있게 됐다"고 밝혔다.

정 대표 역시 "제약회사나 의료기기 등 기업에임상시험 데이터를 표준화 솔루션을 제공하는데, 저희가 커버하는 모든 분야가 굉장히 강한 규제 영역인데, AWS를 기반으로 글로벌 수준의 보안성을 확보할 수 있었다"고 말했다. 

국내 공공 분야에서 클라우드 인프라를 적극 활용하려면 망분리와 규제 제도가 개선되야 한다는 제언도 나왔다. 최근 국내에서 클라우드보안인증(CSAP) 3단계 도입 등 공공 규제를 완화하는 추세지만, 클라우드 활용 측면에서는 충분하지 않다는 지적이다. 

윤 대표는 "CSAP 인증에서 망분리가 중요한 기준인데, 글로벌 트렌드를 보면 망을 분리해서 사용할 수 있는 서비스나 애플리케이션이 점점 줄고 있다"면서 "미국 국방부도 논리적 망분리의 안전성을 인정하고 상당 부분 허용하고 있고, 영국 정부에서도 전체 데이터의 90%는 개방할 수 있다고 발표했다"고 밝혔다.

대부분 공공 데이터는 개방이 필요하고, 정부가 망분리를 하고 기밀하게 다루어야할 데이터는 10% 정도라는 의미다. 규제가 강한 금융과 의료 등에서 데이터를 공유·활용할 수 있도록 제도적으로 뒷받침해줘야 한다고도 했다. 

그는 "세계적으로 유명한 글로벌 제약회사나 유전체 분석회사, 병원에서도 데이터를 공유하고 활용하는 추세"라면서 "데이터를 모아서 정제하고, 수집, 활용하려면 퍼블릭 클라우드를 활용해야 하고, 70~80년대 처럼 단순한 망분리로는 불가능하다"고 밝혔다. 이어 그는 "올해부터 한국에서도 물리적 망분리를 풀어달라는 요구가 높아질 것"이라고 덧붙였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고궁걷기대회_기사뷰_PC
댓글0
0 / 300

댓글을 삭제 하시겠습니까?

닫기

로그인 후 댓글작성이 가능합니다.
로그인 하시겠습니까?

닫기

이미 참여하셨습니다.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