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B손해보험, AI 과실비율 판정 시스템 특허 취득

  • 보험금 청구에서 지급까지 업무 효율성 대폭 성장

[사진=DB손해보험]
[사진=DB손해보험]

DB손해보험이 차량 블랙박스 영상을 활용한 AI 자동 과실비율 판정 시스템을 개발해 특허를 취득했다고 23일 밝혔다.

이 시스템은 차량 사고 발생시 블랙박스에 기록된 영상을 인공지능이 자동으로 분석해 사고 상황을 정밀하게 파악하고, 이를 바탕으로 객관적인 과실비율을 산정하는 기술이다.

AI 시스템 도입으로 보험금 청구에서 지급까지 업무 효율성이 크게 향상되고 처리 시간 단축은 물론 보다 객관적이고 정확한 과실비율 산정이 가능해질 전망이다. 기존에는 보험 심사자가 수작업으로 블랙박스 영상을 확인하고 과실비율을 판정했기 때문에 시간이 많이 걸릴 뿐 아니라 주관적 판단이 개입될 가능성도 있었다.

이번 특허는 DB손보가 작년 11월 광화문국제특허법률사무소와 맺은 업무협약(MOU)의 성과다. DB손보는 이 협약을 통해 블랙박스 AI 과실판정 시스템을 포함한 다양한 기술 혁신에 대한 특허 출원과 등록 과정에서 전문적인 지원을 받았다고 설명했다.

향후 DB손보는 보험 분야에서 활용 가능한 AI 기술을 보유한 스타트업 보험산업 진출을 적극 지원하고, 산학협력을 통한 기술 연구 개발도 확대할 예정이다.

심진섭 DB손해보험 전략혁신본부장은 "AI 기술을 활용한 과실비율 판정은 보험 처리 과정 자동화와 객관화를 통해 고객 만족도를 높일 수 있는 혁신적 접근"이라며 "블랙박스 과실판정시스템 개발이 완료되면 실제 보험 업무에 적용해 업무 정확성을 더욱 높일 계획"이라고 말했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제3회 보훈신춘문예 기사뷰
댓글0
0 / 300

댓글을 삭제 하시겠습니까?

닫기

로그인 후 댓글작성이 가능합니다.
로그인 하시겠습니까?

닫기

이미 참여하셨습니다.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