美와 갈등 장기화 대비?...中, 전략분야 인재 양성 위해 29개 학부 신설 신속 승인

  • 1년전 신설 신청해야...올해는 예외

  • 주변국 외교·반도체 관련 학과 등 포함

베이징외국어대학교 사진베이징외국어대학교 제공
베이징외국어대학교 [사진=베이징외대 제공]



중국이 미국과 경쟁을 주도할 인재를 양성하기 위해 29개 학부 전공 신설을 이례적으로 신속하게 승인했다.  

23일 베이징상보 등 중국 매체에 따르면 중국 교육부는 전날 ‘2025년 일반 고등교육기관 학부 전공목록’을 업데이트하고 전공 29개를 신설하기로 했다고 발표했다.

중국 교육부는 “국가 전략에 신속히 대응하기 위해 처음으로 전략적 긴급성이 요구되는 전공을 즉시 신할 수 있는 메커니즘을 구축했다”고 설명했다.

중국 대학들은 전공 신설을 원할 경우 최소 1년 전에 신청서를 제출해야 한다. 하지만 교육부는 올해 예외적으로 늦은 신청을 허용하고 대학들이 핵심 분야 전공을 신설할 수 있도록 장려한 것으로 알려졌다.

미·중 통상마찰이 격화하고 있는 데다, 반도체 등 기술 분야에서도 미국과 첨예하게 대립하고 있는 상황에서 경쟁 장기화를 대비해 인재 양성에 나선 것으로 보인다. 

이번에 승인된 전공들을 보면 중국의 이 같은 전략이 더 뚜렷하게 드러난다. 베이징외국어대는 주변국과의 외교 역량을 키울 수 있는 ‘역내 국가 연구’ 학과 신설을 승인받았다. 

실제 중국은 미국의 견제에 함께 맞설 우군을 확보하기 위해 주변국과의 결속 강화에 열을 올리고 있다. 시진핑 중국 국가주석은 올해 첫 해외 순방지로 베트남·말레이시아·캄보디아 동남아 3개국을 선택하고, 지난주 각국을 국빈 방문해 “보호무역주의에 함께 맞서자”는 미국 견제 메시지를 내놨다.

이에 앞서 시 주석은 지난 9일 주변국과의 외교 정책을 논의하는 ‘중앙 주변공작회의’를 12년 만에 열고, 주변국과 운명 공동체 구축을 위해 전략적 상호 신뢰를 강화하고 공급망 협력을 확대한다는 외교 방침을 천명했다.

또 상하이푸단대, 충칭우전대, 난징우전대 등 3개 대학을 필두로 30여개 대학이 ‘집적회로 과학 및 공학’ 학과를 신설할 예정이다.

미국의 대중 반도체 수출 통제로 중국은 반도체 인력이 절실한 상황이다. 중국은 지난해 발간한 중국 집적회로 산업 노동력 수요 백서에서 중국 반도체 산업에 20만명의 추가 인력이 필요하다고 밝힌 바 있다.

이밖에 기술 패권의 또 다른 전장인 인공지능(AI) 관련 학과와 중국이 미래 먹거리로 삼은 저고도경제(1000m 이하의 상공을 비행하는 전기수직이착륙기(eVTOL)·드론 등과 관련한 산업 통칭) 학과 등이 신설 전공에 포함됐다. 고령화로 인한 실버경제 수요 대응을 위해 노인학 전공도 신설된다. 

홍콩 사우스차이나모닝포스트(SCMP)는 중국 교육부의 이번 행보에 대해 "미국이 고율 관세를 부과하고, 첨단 반도체와 같은 핵심 기술에 대해 엄격한 제재를 가하는 상황에서 나온 것"이라며 "중국은 침체된 경제를 되살리기 위해 기술 자립과 새로운 성장 동력을 모색해야 한다"고 말했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컴패션_PC
댓글0
0 / 300

댓글을 삭제 하시겠습니까?

닫기

로그인 후 댓글작성이 가능합니다.
로그인 하시겠습니까?

닫기

이미 참여하셨습니다.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