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 시내버스 노조 쟁의행위 투표 가결...30일 파업 예고

  • 서울시, 비상수송대책 수립

서울 시내버스 노조가 조합원을 대상으로 쟁의행위 찬반 투표를 진행하는 28일 서울역버스종합환승센터에 버스가 다니고 있다 사진연합뉴스
서울 시내버스 노조가 조합원을 대상으로 쟁의행위 찬반 투표를 진행하는 28일 서울역버스종합환승센터에 버스가 다니고 있다. [사진=연합뉴스]


서울 시내버스 노조가 쟁의행위 투표를 진행한 결과 최종 가결됐다. 노조는 현재 서울지방노동위원회에서 조정 중인 임금협상이 결렬되면 오는 30일부터 쟁의행위에 나선다는 입장이다.

28일 서울시에 따르면 서울시버스노동조합은 이날 오전부터 진행한 쟁의 행위 찬반 투표에서 찬성으로 의결했다. 전체 조합원 대비 찬성률은 84.9%였으며 투표 인원 대비 찬성률은 96.3%였다.

앞서 노사는 그간 9차례 교섭을 벌였고 서울지방노동위원회 사전 조정 회의를 했지만 합의에 이르지 못했다. 노조는 오는 29일 노사간 막판 협의가 무산되면 30일 첫차부터 쟁의행의에 돌입할 계획이다.

서울시는 올해 임금 인상 정도에 대한 노사간 입장 차가 커 전면 파업이 진행될 가능성이 있다고 보고 비상수송대책을 미리 수립했다.


서울시·자치구·버스조합은 비상 수송 대책 본부를 구성해 24시간 연락 체계를 유지한다. 서울교통공사, 서울시메트로 9호선, 우이신설경전철 등 교통 운영 기관과도 협력한다.

지하철은 출퇴근 혼잡 완화와 불편 사항을 해소하기 위해 1일 총 173회를 증회한다. 출퇴근 주요 혼잡 시간을 현행보다 1시간 연장해 열차 투입을 늘린다. 지하철 막차도 다음 날 오전 2시까지 연장해 심야 이동을 지원한다.

지하철 출퇴근 등을 빠르게 연계하기 위해 서울 25개 각 자치구는 무료 셔틀 버스를 운행한다. 시내버스 운행이 중단되는 노선 중 마을버스가 다니지 않는 지역을 중심으로 주요 거점에서 지하철까지 연계할 수 있도록 민·관 차량 500여대를 즉시 투입할 예정이다.

아울러 파업 등 쟁의행위 장기화를 대비해 출근 시간에 집중되는 이동수요를 분산하기 위해 시내 초·중·고등학교와 공공기관, 민간기업 등에 등교 및 출근 시간을 1시간 조정해 줄 것을 요청할 계획이다.

실시간 시민 안내를 위해 각 자치구를 비롯해 120 다산콜센터와 교통정보센터 토피스, 시 홈페이지와 SNS계정, 도로 전광판, 각 정류소의 버스정보안내 단말기 등을 통해 각종 정보도 제공한다.

여장권 서울시 교통실장은 "가급적 전면적인 쟁의행위로 이어지지 않도록 노사 간 협의를 지속해 나갈 것"이라며 "만일의 사태에 대비해 시민 불편을 최소화할 수 있도록 비상 수송 대책 마련에도 만전을 다하겠다"고 했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고궁걷기대회_기사뷰_PC
댓글0
0 / 300

댓글을 삭제 하시겠습니까?

닫기

로그인 후 댓글작성이 가능합니다.
로그인 하시겠습니까?

닫기

이미 참여하셨습니다.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