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국민의힘 대선 후보로 김문수 후보가 선출된 뒤 주요 경선 후보로 나섰던 이들이 적극적으로 김 후보를 지지하지 않으면서 '원팀' 결집에 빨간불이 켜졌다.
5일 국민의힘 등 정치권에 따르면 홍준표 전 대구시장은 탈당에 이어 이날 미국행을 택했다. 최후의 2인으로 맞붙었던 한동훈 전 대표는 당의 선거대책위원장 제안에 부정적이며, 김 후보를 중심으로 지지 세력이 결집하고 있지도 않다.
뿐만 아니라 김 후보는 무소속의 한덕수 대선 예비후보와의 단일화 논의에도 별다른 움직임 없이 무반응으로 나가며 반 이재명 세력이 양분되는 모양새다.
김 후보와 같은 '탄핵 반대파'였던 홍 전 시장은 이날 페이스북에 "(검사, 정치인에 이어) 인생 3막 구상을 위해 지인이 있는 미국에 잠시 다녀오겠다"고 밝혔다. 지난달 29일 당내 2차 경선에서 탈락한 후 정계 은퇴를 선언, 탈당을 신청한 데 이어 대선 기간 외국에 나가 있겠다고 밝힌 것이다.
경선 결선에서 김 후보에 꺾인 한동훈 전 대표는 김 후보의 공동선대위원장 제안에 "생각할 시간을 좀 달라"고 답했지만, 참여에 부정적인 것으로 전해졌다. 한 전 대표 측근들은 "계엄과 탄핵에 대한 생각이 완전히 다른데 어떻게 선대위에서 역할을 하겠느냐"고 한 것으로 알려졌다.
측근들은 김 후보와 한 후보의 단일화 작업이 정리된 후 한 전 대표가 이재명 더불어민주당 후보의 집권을 막아야 한다며 보수 단일 후보 지지를 요청하는 메시지를 내는 정도를 내다보고 있다.
역시 탄핵 찬성파 후보였던 안철수 의원은 전날 선대위 상견례에서 김 후보에게 12·3 불법계엄과 윤석열 전 대통령 탄핵에 대한 사과를 요구했다. 반탄 진영의 지지로 선출된 김 후보에게 난감한 요구를 선대위 활동의 선제 조건식으로 제시한 것이다.
구 여권 인사들 사이에서는 홍 전 시장을 지지하던 젊은층과 한 전 대표를 향하던 '찬탄' 표심이 이 후보를 향할 수 있다는 분석도 나온다. 한 구 여권 관계자는 "홍 전 시장을 지지했던 젊은층은 원래 국민의힘 다른 후보들보다 이 후보를 좋게 봤고, 찬탄 지지자들 중에도 김 후보나 한 후보를 찍지 못하겠다는 사람들이 있다"고 말했다.
한편 김 후보는 한덕수 무소속 예비후보와의 단일화가 이슈의 중심이 되면서 본인을 중심으로 결집할 골든타임도 놓치고 있다. 한 후보는 이날 회동을 제안했으나, 김 후보는 시점을 특정하지 않은 채 "네"라고만 원론적인 입장을 밝혔다고 알려졌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