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종합] 푸틴, 우크라에 "15일 이스탄불서 만나자"…장기 휴전 가능할까

  • RFE, 푸틴이 30일 휴전 제안을 우회적으로 거부한 것

블라디미르 푸틴 러시아 대통령 사진로이터·연합뉴스
블라디미르 푸틴 러시아 대통령 [사진=로이터·연합뉴스]

블라디미르 푸틴 러시아 대통령이 우크라이나와 직접 대화를 제안하며 추가적인 휴전 협상 가능성을 시사했다. 하지만 이는 유럽 정상들이 요구한 ‘조건 없는 30일 휴전’을 사실상 거부한 것이라는 해석이 나오는 가운데 3년 넘게 이어지는 우크라이나 전쟁의 장기 휴전 협상이 실제 이루어질지 귀추가 주목된다. 
 
11일(현지시간) AP, 로이터 통신 등 외신에 따르면 푸틴 대통령은 이날 오전 1시30분께 심야 기자회견을 갖고 오는 15일 튀르키예 이스탄불에서 우크라이나와 직접 협상을 제안했다. 그는 “우리는 진지한 논의를 하기로 결정했다”며 “직접 대화를 재개해야 한다”고 말했다. 이어 “우리는 반복적으로 휴전을 제안해 왔고, 한 번도 대화를 거부한 적 없다”며 “2022년 협정을 깬 것은 우크라이나”라고 주장했다. 

이번 발언은 푸틴 대통령이 일방적으로 선언한 '전승절 3일 휴전'이 10일 자정 끝난 직후 나온 것으로, 휴전 기간 중 유럽 주요 정상들은 러시아에 추가적으로 30일 휴전을 촉구했다. 전날 영국, 프랑스, 독일, 폴란드 등 유럽 주요 4개국 정상은 우크라이나 수도 키이우에 있는 독립광장에서 우크라이나 지지를 표명했고, 러시아가 30일간 휴전에 응하지 않을 경우 공동 제재를 가하는 방안을 논의할 것이라고 경고했다.

우크라이나 측도 휴전 의지를 내비쳤다. 안드리 예르마크 우크라이나 대통령 비서실장은 텔레그램에 “논의할 주제가 아주 많다”며 “우리는 공정한 평화로 이 전쟁을 끝내야 하며 모스크바에 휴전 동의를 압박해야 한다”고 밝혔다.
 
그러나 러시아 측이 휴전 조건으로 ‘서방의 무기 공급 중단’을 내세우며 부정적인 입장을 보이고 있는 가운데 실제 휴전 성사 여부는 불투명한 상황이다. 드미트리 페스코프 크렘린 대변인은 전날 미국 ABC 방송과의 인터뷰에서 “러시아가 휴전에 동의하기 전 우크라이나 동맹국들의 무기 공급이 먼저 중단되어야 한다”고 주장했다.

이러한 상황에서 나온 푸틴 대통령의 직접 대화 제안은 결국 유럽 정상들의 30일 휴전 제안을 우회적으로 거부한 것이라고 미국의 유럽향 국제 방송인 자유유럽방송(RFE)은 짚었다.
 
한편 최근까지 러시아에 우호적이었던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도 우크라이나와 광물 협정 체결 이후 러시아에 휴전을 압박하며 입장을 선회하고 있다. 미국 월스트리트저널(WSJ)은 트럼프 대통령이 최근 사석에서 푸틴 대통령과의 협상이 특별히 어렵다며 좌절감을 표출했다고 전했고, J D 밴스 부통령 및 마르코 루비오 국무장관 등은 미국의 중재 노력 중단 가능성을 거론하기도 했다.

그러나 트럼프 대통령은 이날 푸틴 대통령의 직접 대화 제안 소식이 나온 이후 우크라이나 전쟁 종전 중재를 계속하겠다는 의지를 나타냈다. 그는 자신의 소셜미디어 트루스소셜에 “그것(우크라이나전 종전)을 위해 양국과 함께 계속 일할 것”이라고 강조했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컴패션_PC
댓글0
0 / 300

댓글을 삭제 하시겠습니까?

닫기

로그인 후 댓글작성이 가능합니다.
로그인 하시겠습니까?

닫기

이미 참여하셨습니다.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