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러시아의 '전승절 3일 휴전'이 끝난 가운데 블라디미르 푸틴 러시아 대통령은 유럽 측이 제안한 30일간의 휴전을 수락하는 대신 우크라이나와의 직접 대화를 제안했다.
11일(현지시간) 로이터통신 등 외신들에 따르면 푸틴 대통령은 이날 새벽 1시30분께 심야 브리핑을 열고 기자들에게 오는 15일께 이스탄불 튀르키예에서 우크라이나와 직접 대화를 하는 방안을 제안한다고 밝혔다. 그는 "우리는 진지한 논의를 하기로 결정했다"며, "분쟁의 근원을 제거"하고 "장기적이고 지속적인 평화의 회복을 달성하기 위해" 우크라이나와 직접 대화를 "재개"해야 한다고 말했다.
푸틴 대통령은 2022년 러시아의 우크라이나 침공을 우크라이나의 책임으로 떠넘기듯 "2022년에 협정을 깬 것은 러시아가 아니었다. 그것은 키이우(우크라이나)였다"며 "그럼에도 우리는 키이우가 어떠한 선결 조건도 없이 직접 대화를 재개할 것을 제안한다"고 언급했다. 이어 "우리는 이 회담 중에 우리가 새로운 휴전안에 합의할 가능성을 배제하지 않는다"고 덧붙였다.
하지만 푸틴 대통령은 우크라이나와 직접 대화 가능성을 제시하는 방식으로 유럽 정상들의 30일 휴전 제안을 무시했다고 미국의 유럽향 국제 방송인 자유유럽방송(RFE)은 전했다.
최근 푸틴 대통령은 그동안 러시아 측에 동조하던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우크라이나와 광물 협정 타결 후 우크라이나에 힘을 실어주며 러시아에 휴전을 촉구하는 등 전 세계 주요 정상들로부터의 휴전 압박이 거세진 상태이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