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재용 회장의 미래 승부수는… '삼성 AI 밸류체인' 구축

  • 2주 만에 대형 M&A 잇따라 추진

  • AI 데이터센터 필수 공조사업 확장

  • "수직적 통합 통한 밸류체인 일환"

삼성전자 서초사옥 전경사진연합뉴스
삼성전자 서초사옥 전경[사진=연합뉴스]
이재용 삼성전자 회장이 신성장 동력 확보에 승부수를 띄웠다. 9년 간의 침묵을 깨고 오디오 브랜드로 인수합병(M&A) 물꼬를 튼 삼성은 미래 핵심 사업으로 떠오르는 냉난방공조(HVAC) 사업도 잇따라 인수하며 인공지능(AI) 시대 맞춤 밸류체인 구축에 나선다는 방침이다.

14일 삼성전자는 독일 플랙트그룹을 15억 유로(한화 약 2조4000억원)에 인수한다고 밝혔다. 지난 7일 자회사 하만을 통해 3억5000만 달러(약 5000억원) 규모의 미국 마시모 오디오 사업부 인수에 이어 2주 만에 들려온 대형 M&A 소식이다.

삼성전자는 이 회장이 등기이사에 오른 후인 2016년 하만 인수(약 9조원) 이후 대형 M&A가 급물살을 탈 것이라는 기대가 있었지만, 이 회장의 사법리스크 등이 맞물리며 소극적인 행보를 보여왔다. 하지만 지난 2월 '부당합병·회계부정 의혹' 2심 무죄 선고로 리스크를 일정 부분 덜어내면서 공격적인 투자 행보를 보이고 있다.

이번 플랙트 인수는 하만 이후 이뤄진 첫 '조 단위' M&A로, 공조사업을 미래 성장동력으로 점찍고 적극적인 투자를 이어가겠다는 의지로 해석된다.

삼성전자는 지난해 5월에도 미국 냉난방공조 기업 레녹스와 합작법인 '삼성 레녹스 HVAC 북아메리카'를 설립하는 등 그간 공조 시장에 힘을 줬지만 가정용 등 중소형 시장에 치중됐다. 반면 플랙트는 공장이나 상업시설 등 중앙공조 시장에 강점을 지닌 기업이다. 이번 인수로 글로벌 종합공조 업체 도약의 발판을 마련한 셈이다.

특히 플랙트는 최근 생성형 AI와 로봇, 자율주행, 확장현실(XR) 등의 확산으로 수요가 폭발 중인 데이터센터 공조 시장에서도 두각을 보이고 있다.

중앙공조 시장은 지난해 610억 달러에서 오는 2030년 990억 달러로 연평균 8% 성장이 기대된다. 이 중 데이터센터 부문은 2030년까지 441억 달러 규모로 연평균 18%의 높은 성장률을 기록할 전망이다. 데이터센터 시장은 현재도 수요가 급증하며 그래픽처리장치(GPU)와 메모리 등 글로벌 반도체 기업들의 실적을 견인하고 있다.

삼성전자는 AI 데이터센터의 핵심 제품인 고대역폭메모리(HBM) 경쟁력 향상에도 매진 중이다. HBM3E(5세대) 시장에서 고배를 마셨지만, HBM4(6세대)는 하반기 양산을 목표로 개발을 진행 중이라고 밝혔다. 이어 HBM4E(7세대) 대응을 위한 투자도 지속한다는 계획이다.

반도체를 비롯해 모바일과 TV, 가전 등 핵심 사업의 AI 기능 고도화로 'AI 밸류체인' 확보에 힘을 주겠다는 전략으로 풀이된다. 단순한 사업 확장이 아닌 스마트홈, 스마트팩토리 등 삼성의 기존 사업과 연계가 가능하다.

황용식 세종대 경영학과 교수는 "공조사업은 AI 데이터센터와 관련된 밸류체인의 일부로 볼 수 있는 만큼 (삼성전자가) AI 분야 역량을 키우는 데 일부분 일조할 것"이라며 "당장의 성과보다는 수직적 통합을 통한 밸류체인의 일환으로 보인다"고 말했다.

실제 삼성전자는 지난주 마시모 인수 외에도 레인보우로보틱스, 옥스퍼드 시멘틱테크놀로지, 소니오 등 로봇·AI·의료기기 스타트업 투자를 지속해 왔다. 지난 3월 주주총회에서도 올해 사업전략을 발표하면서 "로봇 AI와 휴머노이드 분야의 국내외 우수 업체, 학계와 협력하고 유망 기술에 대한 투자와 인수도 지속 추진할 것"이라고 밝혔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제3회 보훈신춘문예 기사뷰
댓글0
0 / 300

댓글을 삭제 하시겠습니까?

닫기

로그인 후 댓글작성이 가능합니다.
로그인 하시겠습니까?

닫기

이미 참여하셨습니다.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