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한美사령관 "주한미군, 北격퇴뿐 아니라 인도태평양 전략의 부분"

  • "한국, 일본과 중국 본토 사이에 떠 있는 고정된 항공모함 같다"

제이비어 브런슨 주한미군사령관 사진AP·연합뉴스
제이비어 브런슨 주한미군사령관 [사진=AP·연합뉴스]
 
 “주한미군은 북한을 격퇴하는 것에만 초점을 맞추지 않는다. 우리는 더 큰 인도태평양 전략의 작은 부분으로서 역내 작전, 활동과 투자에도 초점을 맞추고 있다.”
 
연합뉴스에 따르면, 제이비어 브런슨 주한미군 사령관은 15일(현지시간) 미국 하와이에서 열린 미국 육군협회(AUSA) 태평양지상군(LANPAC) 심포지엄에서 광활한 인도태평양 지역에서의 군사 작전을 어렵게 하는 '거리의 횡포(tyranny of distance)'를 극복하는 데 있어서 한국에 주둔한 미군이 큰 역할을 한다며 이같이 말했다.
 
한국의 지리적 위치가 전략적으로 중요하다고 강조한 그는 “한국은 베이징과 가장 가까운 동맹의 존재이자, 일본과 중국 본토 사이에 떠 있는 섬이나 고정된 항공모함 같다”고 평가했다.

미국이 주한미군의 활동 범위를 한반도로 국한하지 않고, 중국의 대만 침공 등 동북아시아의 다양한 지정학적 위기에 투입하는 '전략적 유연성'을 추구할 것이라는 관측이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 재선 이후 계속 제기되고 있다. 

브런슨 사령관은 “한국에 주둔하는 미군은 북한, 러시아, 중국 지도부의 셈법을 바꾸고, 비용을 부과하며 어느 충돌에서든 우리나라의 가장 고위급 지도자들에게 선택지를 제공한다”고 덧붙였다.
 
또한 그는 북한이 러시아에 병력을 파견한 대가로 기술 지원을 받는 게 우려된다면서 “북한은 우리가 그들이 하지 못할 것이라고 예상했던 방식으로 그들의 (무기) 프로그램 일부를 발전시키고 있다”고 말했다.
 
이어 “난 북한이 자기들이 가진 핵무기를 현재 가진 항공 수단에 탑재하는 방법을 배울지에 대해 우려하고 있다”면서 “북한은 러시아와의 협력이 없었다면 수년이 걸렸을 도약을 하고 있다”고 평가했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고궁걷기대회_기사뷰_PC
댓글0
0 / 300

댓글을 삭제 하시겠습니까?

닫기

로그인 후 댓글작성이 가능합니다.
로그인 하시겠습니까?

닫기

이미 참여하셨습니다.

닫기